청록산수화 ()

회화
개념
녹색과 청색 안료를 주조로 그린 채색 산수화. 착색도 · 채화.
이칭
이칭
착색도(著色圖), 채화(彩畵), 금벽산수화(金碧山水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록산수화는 녹색과 청색 안료를 주조로 그린 채색 산수화이다. 광물성 석청·석록의 청색과 녹색을 주요 색조로 한 채색 산수를 통칭한다. 채색 안료는 조선 시대에 출토되기도 했지만 중요한 수입품이었다. 청록산수화는 청색과 녹색의 채색 정도에 따라 두 가지 화법으로 나눈다. 대청록산수 화법은 행사도 등 궁중 회화에 적극 적용되었다. 소청록산수 화법은 설색과 준법에 변화를 주며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대청록산수는 「잠직도」, 소청록산수는 이징 「산수도」가 대표적이다. 청록산수화는 수묵 담채와 구별되는 산수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정의
녹색과 청색 안료를 주조로 그린 채색 산수화. 착색도 · 채화.
개설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畵)는 고대의 벽화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청록산수화 양식은 산수화뿐만 아니라 인물화, 풍속화, 기록화, 장식화, 불화, 지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종의 산수 표현 기법으로 자유롭게 구사되었다.

한국 회화사에서는 광물성 석청(石靑), 석록〔石綠(碌)〕을 주요한 색조로 한 채색 산수(彩色山水)를 통칭하여 ‘청록산수화’라 명명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대 벽화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자연에서 채취한 재료로 그린 청록산수 화법은 일찍부터 미술사에 등장하였지만 이 기법을 ‘청록산수’로 범주화하여 용어를 정립한 것은 후대의 일이다. 또한 청록의 안료에 더하여 이금(泥金)을 사용한 산수를 특히 금벽산수(金碧山水)로 칭한다.

연원 및 변천

한국측 고전 문헌을 살펴볼 때 ‘청록산수’보다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의 채색화를 의미하는 ‘착색도(著色圖)’, ‘채화(彩畵)’ 등의 용어들이 더 선호되었다. 더 세분하여 색을 칠한 정도에 따라 진채〔眞采(彩)〕와 반진채〔半眞采(彩)〕 혹은 박채〔薄采(彩)〕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진채는 준법(皴法)을 사용하지 않고 윤곽을 그어 형태를 그린 후 진한 색으로 채운 것이며, 반진채 혹은 박채는 준법으로 형상화한 기초 위에 채색을 엷게 바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록산수 중의 ‘대청록(大靑綠)’과 ‘소청록(小靑綠)’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내용

청록산수의 재료가 되는 청색과 녹색의 광물성 안료에 대한 기사가 문헌에 많이 보인다. 청색 안료는 석청 계열로, 외형과 산지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며 이를 얻을 수 있는 광물은 남동광〔Azurite〕이 대표적이다. 문헌에서 녹색 안료로 간주되는 것은 석록 계열로, 이를 얻을 수 있는 광물은 공작석〔Malachite〕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채색 안료는 조선시대에 출토되기도 하였지만 중요한 수입품이었다. 중국 사행 화원들에게 채색 안료를 구해 오도록 명을 내리거나 채색 안료를 국가에 바치는 이들을 포상하는 등 안료를 귀히 여겼다.

현황

조선시대의 청록산수는 고대의 벽화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제작되었다. 먼저 청록산수를 청색과 녹색의 채색 정도에 따라 대청록산수와 소청록산수로 나눌 수 있다.

대청록산수의 예로는 「잠직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들 수 있다. 산의 외곽을 설정한 후에 그 안에 청록의 안료를 진하게 칠하였다. 산의 윤곽에 잇대어 금색 선을 그었기 때문에 금벽산수로도 칭할 수 있다. 고려 불화의 바위 표현에서도 볼 수 있는 이런 유형의 청록산수는 궁중 회화의 전통으로 연결되어 오봉병(五峰屛)을 비롯한 장식화, 행사도, 고사도 등 화려한 양식으로 발전되었다. 산의 괴량감이 강조되며 단순화 · 평면화되는 경향으로 전개되었다. 금니를 사용하지 않는 대청록산수의 예도 많다.

소청록산수는 준법 위에 청록의 채색을 가볍게 칠하기 때문에 산 위에 그은 필획이 잘 보인다. 대청록산수의 경우, 준법보다 청록 안료의 채색이 우세하였다면 소청록산수는 준법의 개별적인 필획이 채색보다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소청록 기법은 투명한 안료를 주조로 한 담채화의 영역과 교차하면서 재료와 기법에 있어 상호 영향을 주며 전개되었다. 이징(李澄) 필 「산수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가 대표적이다.

의의와 평가

청록산수를 그릴 때 사용하는 안료 자체가 귀하고, 그 효과가 화려하고 장식적이기 때문에 청록산수 화법은 탈세속적인 환경, 고귀한 장소를 그리거나 고사, 신화를 표현할 때 애용되었다. 대청록산수 화법은 장식화, 행사도 등 궁중 회화에 적극 적용되었으며, 소청록산수 화법은 설색과 준법에 변화를 주며 문인, 화원에 의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수묵, 담채와 구별되는 불투명한 재료적 특성을 지니고 산수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시킨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청록산수, 낙원을 그리다』(국립중앙박물관, 2006)
『한국회화사 용어집』(이성미․김정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3)
『우리 그림의 색과 칠』(정종미, 학고재, 2001)
「조선 후반기 청록산수화 연구」(박혜영,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2017)
「조선시대 청록산수화의 개념과 유형」(이수미,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14,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