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연대는 미상이고, 가사도 현전하지 않는다. 다만, 노래의 유래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4 원효불기조(元曉不羈條)와 『파한집(破閑集)』 권하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무애’란 『화엄경』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㝵人一道出生死)”에서 유래한 말이다.
원효가 파계하고 한 때 속인 행세를 하며 소성거사(小性居士)라 일컬을 때, 광대들이 큰 바가지를 들고 춤추며 노는 것을 보고 그 모습을 본떠 무애라 이름하고 이 노래를 지어 부르며 방방곡곡을 돌아다녔으며, 이에 불교를 민중에게 널리 전파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한편, 『파한집』의 기록에는 원효가 파계했을 때 호리병박을 어루만지면서 저자(市)에서 노래부르며 춤추니, 이것을 무애라 하였고, 뒤에 호사자(好事者)들이 호리병박에 금으로 만든 방울을 달고 채색 비단을 장식하여 두드리며 음절에 맞게 춤 동작을 하고 여기에다 경론(經論)에서 가려 뽑은 게송(偈頌)을 지어 이것을 「무애가」라 했다고 한다.
밭 가는 늙은이들까지도 이것을 본받아 놀았다고 한다.
고려 때 이 노래는 「무애무(無㝵舞)」로 바뀌어져서 궁중의 정재(呈才) 춤의 하나로 되면서 기녀가 창하였고, 조선말까지 「무애희(無㝵戱)」라 하여 무악(舞樂)으로 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