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두루비법 ()

목차
불교
의례·행사
신라와 고려시대에 호국의 염원을 담아 행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밀교의식.
이칭
이칭
신인비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와 고려시대에 호국의 염원을 담아 행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밀교의식.
내용

신라의 명랑(明朗)이 중국에서 밀교를 배운 뒤 635년(선덕여왕 4)에 귀국할 때 처음으로 전하였다. 문무왕 때 당나라 군사가 신라를 침략하게 되자 왕은 명랑에게 적을 물리칠 수 있는 비방을 물었다. 이에 명랑은 낭산(狼山)의 남쪽에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세우고 도량을 열 것을 제의하였는데, 시간이 급박하였으므로 채백(彩帛)으로 가건물을 짓고 5방(方)에 신상(神像)을 세운 뒤 유가명승(瑜伽明僧) 12인과 함께 문두루비법을 썼다. 그 때 당군과 신라군이 아직 접전하기도 전에 바람과 물결이 사납게 일어나 당나라 배가 모두 물에 침몰하였다고 한다. 문두루는 범어 무드라(mudra)의 음사(音寫)로 신인(神印)으로 번역된다.

명랑에 의해서 처음으로 신라에 전해진 이 비법은 『불설관정복마봉인대신주경(佛說灌頂伏魔封印大神呪經)』에 의한 것이다. 이 경에 의하여 불단(佛壇)을 설치하고 다라니 등을 독송하면 국가적인 재난을 물리치고 국가를 수호하여 사회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도 문두루비법은 자주 개설되었다. 고려의 동북쪽에서 완안여진(完顔女眞)과의 대결이 있었던 1108년(예종 3) 7월 북쪽 국경 가까운 진정사(鎭靜寺)에서 문두루도량을 열었고, 그 이듬해 4월 서경(개성)의 흥복사(興福寺)·영명사(永明寺)·금강사(金剛寺)·장경사(長慶寺) 등 4개 사찰에서 문두루도량이 개설되었다.

또 1074년(문종 28) 7월 동경(경주)의 사천왕사에서 27일 동안 문두루도량을 열었으며, 몽고족의 침략이 있었던 1217년(고종 4)에도 이 도량이 개설되었다. 특히 고려에서는 이 문두루비법을 서경에서 많이 행하였는데, 그 까닭은 서경의 위치, 풍수지리설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불설관정복마봉인대신주경(佛說灌頂伏魔封印大神呪經)』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