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산집 ()

목차
관련 정보
문산집
문산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1권 4책. 활자본. 1870년(고종 7) 그의 계자(季子) 건식(建栻)이 영천군수(永川郡守)로 있을 때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상현(金尙鉉)의 서(序)와 시문총목(詩文總目)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8에 시 825수, 권9에 서(書) 23편, 권10에 제문 15편, 서(序) 4편, 기(記) 5편, 부 3편, 제(題) 3편, 발(跋) 3편, 설(說) 2편, 잡저 4편, 권11은 부록으로 다산문답(茶山問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800여 수에는 그가 경치를 즐겨 당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지취를 숭상한 뜻이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기행시가 많으며, 이 중 단군을 찬양한 「단군대(檀君臺)」, 금강산의 경치를 읊은 「동유록(東遊錄)」 등이 돋보인다. 18세기의 한시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서(書) 중 「답홍백응서(答洪伯應書)」는 사람에게 부여된 이기(理氣)에 대하여 논변한 글이고, 「장석문목(丈席問目)」은 『중용』과 『대학』에 대한 문목이다. 잡저 중 「역계만록(易繫漫錄)」은 『주역』 연구에 대한 기록으로, 특히 시책(蓍策)에 관한 설명은 점술(占術) 및 설시(設蓍)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

부록의 「다산문답」은 정약용(丁若鏞)의 사칠성정(四七性情)에 대한 논설을 정주(程朱)의 학설을 끌어다가 비교, 논변한 것이다. 이밖에도 화양동을 읊은 「화양동부(華陽洞賦)」, 고양이를 잡는 일과 비유하여 쓴 「착묘설(捉猫說)」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재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