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합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후백제의 견훤이 고려 태조에게 파견했던 사신.
이칭
이명
민극(閔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일길찬(一吉飡)
내용 요약

민합은 남북국시대 후백제의 견훤이 고려 태조에게 처음으로 파견하였던 사신이다. 왕건이 918년 6월에 고려를 건국하고 왕위에 오르자, 견훤은 2개월 뒤인 8월에 이를 축하하기 위해 민합을 파견하였다. 이때 고려 태조는 광평시랑 한신일을 감미현까지 보내어 민합을 영접하게 하였고, 자신도 대중전에 임어하여 직접 그의 축하를 받는 등 두터운 예로써 대접하고 돌려보냈다.

정의
남북국시대 후백제의 견훤이 고려 태조에게 파견했던 사신.
인적 사항

민합(閔郃)과 민극(閔郤)은 동일 인물인데, 사서(史書) 간행하는 과정에서 '합(郃)'과 '극(郤)을 잘못 판독하면서 주1이 생긴 것 같다.

‘민극(閔郤)’으로 새긴 사례는 『삼국사기』 가운데 조선시대에 『 현종실록(顯宗實錄)』을 간행할 목적으로 1711년에 주자했던 주2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13세기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암고서박물관본(誠庵古書博物館本)에서는 ‘민합(閔郃)’으로 새긴 사례가 확인된다. 그리고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에도 ‘민합(閔郃)’으로 새겨져 있다. 따라서 민극보다는 민합이 본래의 이름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더 높다.

주요 활동

918년 6월 11일 병진(丙辰)에 왕건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하자, 후백제견훤은 그 소식을 듣고 2개월 뒤인 8월 11일 신해(辛亥)에 일길찬(一吉飡) 민합을 보내어 왕건을 축하하였다. 『삼국사기』에는 이때 민합이 공작 깃으로 만든 부채[공작선(孔雀扇)]와 지리산 죽전(智異山竹箭, 대나무로 만든 화살)을 선물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는 후백제에서 공작선과 지리산 죽전을 고려에 바친 것은 920년(태조 3) 9월에 파견된 아찬(阿粲) 공달(功達)이었다고 하였다.

어느 것이 사실인지 정확하지 않다. 아무튼 『고려사』에서는 후백제에서 민합이 오자, 고려 태조 왕건이 광평시랑(廣評侍郞) 한신일(韓申一) 등을 감미현(甘彌縣, 지금의 경기도 안성 일대)까지 나아가 영접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고려사절요』에서는 태조 왕건 자신도 대중전(大中殿)에 주3하여 직접 민합의 축하를 받으면서 두터운 예(禮)로써 대접하고 돌려보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삼국사기(三國史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정구복·노중국·신동하·김태식·권덕영, 『역주 삼국사기 1』 감교원문편(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주석
주1

전거나 출처가 확실하지 못한 저술.    우리말샘

주2

쇠붙이를 녹여 부어 만든 활자로 짠 판. 또는 그 판으로 인쇄한 책.    우리말샘

주3

임금이 그 자리에 찾아오는 일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