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보전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박태보를 다룬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박태보실기, 박한림전, 문열공기사, 박응교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태보전」은 조선 후기 박태보를 다룬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기사환국으로 인하여 참형을 당한 박태보의 행적을 『기사민절록』 등 실기에서 다방면으로 수집하여 소설로 가공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사실과 허구를 교묘히 섞어 제시하는, 조선 후기 역사소설 창작 방식을 잘 보여 준다. 이 작품에서 박태보는 모진 형벌에도 직간을 서슴지 않는 전형적 충신으로 형상된다. 이 작품은 한글본과 한문본이 모두 유통되었고 한글본은 수십여 종에 이르며, 상업 출판인 구활자본으로 간행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박태보를 다룬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 사항

1권 1책. 국문 필사본, 한문 필사본, 구활자본. 역사적 인물인 박태보를 소재로 한 역사소설이다.

이본은 한문 필사본, 국문 필사본, 구활자본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국문 필사본으로 「박한림전(朴翰林傳)」·「문열공기사」 등 수십여 종이 있다. 한문 필사본으로 「박응교전」·「박태보전」 등이 있다. 구활자본으로 덕흥서관에서 나온 「박태보실기」가 있다. 이본의 제목은 「박태보전」·「박한림전」·「문열공기사」·「박응교전」 등등 매우 다양하다.

내용

숙종박세당이란 선비가 일찍 관료가 되어 좌참찬이 되었다. 그는 아들 형제를 두었는데, 둘째 아들 태보가 3세 되는 해에 부인이 세상을 떠났다. 박세당의 동생이 아들이 없어 태보를 양자로 삼았다. 태보는 18세에 이조판서 이경의 딸과 혼인하고, 그 뒤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응교(應敎)에 이른다.

이 때 중전 민씨는 덕행이 중국 주나라 문왕의 비와 같았다. 반면, 후궁 장씨는 미천한 집 딸로 왕의 은총을 받고 지나치게 교만해져서 늘 중전을 폐하고자 했다. 장씨가 왕자를 낳자 숙종이 애지중지하였는데, 하루는 중전이 장씨 방에 가보니 장씨는 없고 왕자가 죽어 있었다.

숙종은 중전이 왕자를 죽인 줄 알고 중전을 폐위하려고 했다. 숙종 16년 중전의 생일날 왕이 중전 폐위의 전교를 내리자, 많은 신하들이 그 불가함을 상소했다. 숙종이 크게 노하여 상소한 사람들을 잡아들이니 박태보가 모든 책임을 졌다.

박태보는 군신과 부자는 일체이니 부모의 허물이 있으면 울면서 사실을 똑바로 말해야 마땅하고, 임금이 간신과 후궁의 불측한 말을 듣고 국모를 내치려 하니 신하된 도리로 똑바로 지적하지 않으면 후세에 불충한 말을 들을 것이라고 말했다.

숙종이 더욱 노하여 박태보를 형틀에 올려놓고 매우 치라 하지만 그는 조금도 굴하지 않고 중전 폐위의 부당함을 말했다.

숙종은 그를 다시 매우 치게 하나, 그는 불민한 백성도 본처를 박대하고 소첩을 중히 여기며 자신의 허물을 알지 못하면 패가망신하는 일이 있는데, 임금이 어찌 일국의 부모가 되어 국모를 임의로 내치려 하느냐고 말했다. 숙종이 노여움을 참지 못하여 더욱 중형을 가하지만, 그는 조금도 굴복하는 기색이 없이 똑바로 말하며 죽여 달라고 했다.

그러나 숙종은 박태보의 바른말을 듣지 않고 끝내 중전을 내치고 박태보를 진도로 유배 보냈다. 이에 조정의 모든 신료가 박태보를 전송했고 모든 친척이 서러워 마지않았다. 박태보는 한강을 건너 노량진에서 더 이상 가지 못하고 형독이 나서 유배 도중에 죽고 말았다.

숙종이 중전을 폐위하고 나서 심신이 불편하여 미복으로 궁전 밖을 나와 동요를 들어보니, 임금을 풍자하며 나무라는 사연이었다. 숙종이 하루는 후원으로 들어가보니 장씨가 궁녀들을 데리고 굿을 하고 있었다.

그 때 장씨는 민중전의 허수아비를 앞에 놓고 저주를 퍼붓고 있었다. 숙종은 그것을 보고 비로소 장씨의 음모를 알고 궁녀들을 문초하여 장씨의 음모를 자백받았다.

숙종은 박태보의 원사를 슬퍼하고 민씨를 복위시켜 환궁하게 하였다. 한편 장씨는 폐위하여 사약을 내려 죽인다. 숙종은 또 박태보의 부친인 박세당을 입궐하게 하여 충신 아들을 두었음을 치하하고, 박세당의 큰아들로 대사성을 삼아 죽은 아우를 대신하게 한다.

의의

이 작품은 역사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정사적 입장에서 직간하다 죽은 박태보의 사적을 서술해 놓았다. 이 작품은 박태보 관련 기사 가운데 『기사민절록』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았다. 『기사민절록』은 기사환국을 기점으로 일어났던 조정의 총체적 난국과 충신 박태보의 행적과 추숭이 36편의 기사로 실려 있다. 「박태보전」은 실존 인물인 박태보의 여러 행적을 『기사민절록』 등 다양한 문헌에서 취재해 허구를 가미한 역사소설로, 여러 기사의 수용과 조합을 통한 소설적 가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창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원전

「박태보실기」(인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자료총서간행위원회 편, 『고소설전집』 3, 서울: 은하출판사, 1983)
「박한림전」(김기동 편, 『고전소설전집』, 아세아문화사, 1982)

논문

서신혜, 「〈박태보전〉의 이본 〈문녈공긔사〉의 작가와 저작 원리」(『동아시아 문화연구』 52,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주영아,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의 텍스트로서 가치와 소설로의 변이 과정」(『동방학』 34,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