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언해‘라고도 한다. 1권 1책. 목판본.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금강경언해(金剛經言解)』와 동시에 간행되었다. 따라서 간경도감 도제조(都提調)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도 ‘진금강심경전(進金剛心經箋)’으로 되어 있다.
이 전문과 한계희(韓繼禧)의 발문에 의하면 구결은 세조가 달고 번역은 한계희 등이 하였다고 한다. 책의 체재와 번역에 나타난 국어는 당시의 간경도감 간행 언해서와 같다.
원간본은 서울대학교 도서관 일사문고(一蓑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원간본의 책판으로 1495년(연산군 1)학조(學祖)의 발문을 새로 붙여 인출한 책이 최범술(崔凡述) 소장으로 전한다. 학조의 발문은 『금강경언해』의 1495년 인출본 등에도 있는데, 인경목활자(印經木活字)로 되어 있어서 서지학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일사문고본은 1973년일지사(一志社), 1495년 인출본은 1975년 보련각(寶蓮閣)에서 영인본으로 출판되었다. 중간본으로는 1553년(명종 8)황해도 심원사(深源寺), 1565년전라도 순창의 무량사(無量寺)에서 원간본을 복각한 것이 전한다. 국어사연구와 불경의 연구에 자료가 되는 문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