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발연사 ( )

목차
불교
유적
강원도 고산군 외금강면 금강산(金剛山) 미륵봉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진표가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발연암(鉢淵庵), 발연수(鉢淵藪)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고산군 외금강면 금강산(金剛山) 미륵봉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진표가 창건한 사찰.
내용

발연암(鉢淵庵)·발연수(鉢淵藪)라고도 한다. 신라시대에 승려 진표(眞表)가 지극한 참회를 통하여 미륵보살로부터 친히 간자(簡子)를 전수받았던 곳으로, 770년(혜공왕 6)에 진표가 창건하였다.

미륵봉 동쪽의 험준한 계곡 아래 발연이라는 못이 있는데, 이는 주위의 바위모양이 발우(鉢盂) 모양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절 이름도 이에 기인한다. 1657년(효종 8)에 화재로 불타버린 뒤 1659년에 승찬(勝燦)이 중건하였다.

그 뒤 이 절의 퇴락에 관한 설화가 전한다. 절이 한참 융성한 때인 어느 날, 한 노인이 찾아와서 구걸을 하였다. 절에서 귀찮다고 박대를 하면서 쫓아버리자 노인은 다음날 지관의 행색을 하고서 다시 절을 찾았다.

그리고 절 앞 계곡에 다리가 있었더라면 더욱 융성해질 것이라는 말을 되풀이하고는 아쉽다는 듯이 절을 떠났다. 이에 승려들은 곧 다리를 만들어 홍교(虹橋)라고 이름 지었다. 그런데 그 뒤부터 자꾸 절의 재산이 줄고 머지않아 폐사 직전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하여 알아보니, 절 건너편에 고양이모습의 바위가 있는데 전에는 시냇물에 막혀서 오고갈 수 없었으나 다리를 놓았기 때문에 자주 왕래하게 되어 절이 쇠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승려들은 다리를 다시 허물었으나 그때마다 시냇물에 떠내려 온 바위들이 저절로 모여서 다리 같은 형상을 만들었으며, 절은 폐사가 되었다고 한다. 한말에 북명(北溟)이라는 걸승이 이 절을 중창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한국의 사찰』 17-북한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8)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