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

목차
관련 정보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40년 현고사의 대선사 해연이 『지장보살본원경』을 백지에 먹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지묵서 지장보살본원경(白紙墨書 地藏菩薩本願經)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사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7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440년 현고사의 대선사 해연이 『지장보살본원경』을 백지에 먹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3권(권상·중·하) 3첩(帖). 이 사경(寫經)은 현고사(玄高寺) 주지를 역임했던 대선사(大禪師) 해연(海淵)에 의해 이루어졌다. 권말(卷末)의 사성기(寫成記)에 의하면, 최천경(崔天景) 등 22명의 시주자와 함께 위로는 하늘과 땅, 부모·국가의 은혜에 보답하고, 아래로는 삼도(三途:지옥·아귀·축생)를 제도하고, 이 경을 보고 듣는 사람은 모두 보리심(菩提心)을 내고 죽으면 극락에 같이 태어나기를 기원하고 있다.

현재 이 경은 중국의 영락(永樂) 비단으로 배접된 포갑(包匣) 속에 쌓여 있어 전혀 훼손됨이 없이 매우 깨끗하게 보존되어 있다. 감색의 바탕에 은니(銀泥)의 초화문(草花文)으로 장식된 표지의 문양이나 가운데의 경명(經名) 표시 등이 고려시대의 수법을 잇고는 있으나, 다소 떨어진다.

대부분의 고려 사경과는 달리 평민(平民)이 시주자로 참여하고 있다. 이로써 조선 초기에 있어서 사경 제작의 형식이 고려시대와는 달라지고 있는 일면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천혜봉·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8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