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박 ()

목차
관련 정보
동래부순절도
동래부순절도
회화
인물
조선후기 「동래부순절도」, 「왜관도」, 「묵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탁지, 琢之
술재, 述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밀양(密陽)
주요 관직
동래부 소속 화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동래부순절도」, 「왜관도」, 「묵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동래부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通信使行)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는 등 화원 김유성(金有聲)과 함께 활약하고 돌아왔다.

유작으로 1760년에 개모(改模)한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와 「부산진순절도」(육군박물관 소장), 1783년에 그린 「왜관도(倭館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비롯하여, 일본에 남기고 온 「묵죽도」와 「유하마도(柳下馬圖)」 등이 전한다.

『고화비고(古畵備考)』의 조선서화전에는 박동관(朴東觀)의 제찬(題讚)이 있는 그의 산수화가 유전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동래부사의 왜사(倭使) 접대광경을 그린 「동래부사접왜사도(東萊府使接倭使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도 화풍으로 보아 그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문헌

『해사일기(海槎日記)』
『古畵備考』(朝岡興禎, 弘文館, 1904)
「17·18世紀の韓日間繪の交涉」(홍선표, 『고고미술』143·144, 1979)
「江戶時代における朝鮮通信使の遺墨について」(이원식, 『朝鮮學報』88,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