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환 ()

목차
불교
인물
고려후기 『수능엄경환해산보기』, 『능엄경신과』 등을 저술한 승려.
이칭
한암(閑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수능엄경환해산보기』, 『능엄경신과』 등을 저술한 승려.
내용

호는 한암(閑庵). 마곡사(麻谷寺)의 승려였다. 1245년(고종 32) 12월 『능엄경(楞嚴經)』을 널리 펴려는 서원(誓願)을 세웠고, 1264년(원종 5)√「구결도우문(求結道友文)」을 발표하여 스스로 깨달은 『능엄경』의 참뜻을 영원히 전법(傳法)할 결의를 보였다.

그 뒤 영산현(靈山縣) 봉귀사(鳳歸寺)에 머물면서 대장경(大藏經)을 열람하다가, 1265년 영산현 귀로암(歸老庵)이 낙성(落成)되자 주지 각환(覺幻)의 청에 따라 『능엄경』을 강설하였다.

이때 『능엄경산보기(楞嚴經刪補記)』 2권과 『능엄경신과(楞嚴經新科)』 2권을 저술하여 『능엄경계환요해(楞嚴經戒環要解)』의 잘못된 점을 정정하였다.

이 중 『능엄경산보기』는 목암화상(睦庵和尙)인 일연(一然)의 교열을 받았고, 『능엄경신과』는 1276년(충렬왕 2) 그가 강양(江陽) 몽계사(夢溪寺)의 능엄도량(楞嚴道場) 주맹(主盟)이 되었을 때 그곳에 참여했던 희종의 넷째아들 경지(鏡智)가 크게 주목하여 간행하였다.

그 뒤 호주(湖洲)의 개심사(開心寺)에 있다가 1278년 왕명으로 백련사(白蓮社)에서 능엄법회를 열어 『능엄경』을 강의하였다. 1279년 충렬왕이 경상수보도감(經像修補都監)에 명하여 『능엄경산보기』 2권을 간행하도록 하였다.

평생을 『능엄경』 연구에 바쳤으며, 오늘날 『능엄경』이 우리나라 불교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 된 것은 그의 노력에서부터 비롯된다. 저서인 『능엄경신과』와 『능엄경산보기』는 현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능엄경환해산보기(首楞嚴經環解刪補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