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덕방 ()

이태준
이태준
현대문학
작품
이태준(李泰俊)이 지은 단편소설.
정의
이태준(李泰俊)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37년 『조광(朝光)』에 발표되었다가 1947년 을유문화사에서 소설집으로 묶어 간행하였다. 이 소설은 몰락하여가는 안초시를 중심으로 서참의와 박희완 영감이 모여 있는 무대를 중심으로 한 작품이다.

내용

구한말 무관으로 지금은 가옥 중개업으로 근근이 먹고사는 복덕방 주인 서참의, 재판소에 다니는 조카를 빌미로 대서업을 하려고 운동을 하며 속수국어독본(速修國語讀本)을 노상 끼고 다니는 박희완 영감, 그리고 무용가 딸을 두고 땅 투기를 하다가 실패한 안초시, 이들이 복덕방을 터전으로 연명해 간다. 이렇듯 시대 변화에 따라 양반으로서의 위신을 잃은 노인들이 복덕방에서 소일하는데 그 가운데 안초시 노인이 딱하게 세상을 떠났다는 내용이다.

이 안초시는 무용을 하는 딸이 용돈을 잘 주지 않아 항상 불만을 가지고 있는데 서해안에 항구가 생기니 땅을 사두라고 딸에게 권한다. 그러다가 낭패를 보게 되어 결국 자살을 하고 노인들이 장례식에 참여하여 장지까지 따라가려 했으나 거기 모인 딸을 비롯한 젊은이들의 행태에 반감을 가지면서 가지 않는다는 줄거리이다. 이처럼 죽은 노인에게 동정을 보내면서 세태 변화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현실에 대하여 정면대결을 피한 대신 그것을 제재로 서민 생활의 한 단면을 부각시킨 것이다. 즉, 봉건적 풍속 속에서 급격히 식민지 자본주의적 풍토로 변모해 가는 사회 변화 추세 속에서 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거나 혹은 그것을 극복하려는 아무런 의지도 보이지 않는 수동적 인물을 그렸다는 평을 받는다.

따라서 이태준을 딜레탕티즘(dilettantism)의 작가라고도 하는데, 대표작으로 평판되는 「복덕방」을 비롯하여 「가마귀」, 「불우(不遇)선생」 등은 거의 전부 일상적인 사소한 것들에게 복수를 당하는 패배적 인간들이 그려지고 있다. 결국 사회에 대해서는 냉소로, 그리고 인생에 대해서는 아이러니로,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주1로 응답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작가해설』(김용직, 관악출판사, 1989)
「이태준론」(김윤식, 『현대문학』, 1989.5)
「상허 이태준 중·단편소설의 이해-1925∼1943년을 중심으로-」(민충환, 『공산권연구』, 1988.2)
주석
주1

‘고통’, ‘깊은 감정’을 뜻하는 말로 ‘슬픈 감정’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병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