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래산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세조 때 성삼문(成三問)이 지은 시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세조 때 성삼문(成三問)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청구영언』을 비롯한 여러 가집(歌集)에 실려 전한다.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반대하여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는데, 죽음에 임박하여서도 꺾이지 않는 자신의 꿋꿋한 절개를 노래한 것이다.

내용

‘봉래산가’라는 제목은 작품 가운데 등장하는 봉래산을 따서 후세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다. “이 몸이 죽어가셔 무어시 될고 ᄒᆞ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落落長松)되야이셔,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ᄒᆞᆯ졔 독야청청(獨也靑靑)ᄒᆞ리라.” 살아서뿐만 아니라 죽어서도 홀로 푸른 소나무가 되겠다고 하여 생사를 초월한 늠름한 절개를 나타내었다.

절개를 지키려는 자에게 으레 따르게 마련인 시련을 천지에 가득한 흰 눈으로 비유하는 한편, 그 가운데 푸르게 우뚝 솟은 낙락장송에 자신의 절개를 비유함으로써 시각적인 대비를 통하여 지조의 굳고 빼어남을 드러내었다.

의의와 평가

이 「봉래산가」는 고려말의 충신이었던 정몽주(鄭夢周)의 「단심가(丹心歌)」를 잇는 작품이라 할 만하다. 뒤에 권필(權韠)의 시조에도 이와 아주 유사한 작품이 보이고, 작품 속의 낙락장송은 후대의 작품에서는 으레 동량재(棟梁材)와 고절한 기품을 상징하는 은유로 많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시조문학사전(時調文學事典)』(정병욱, 신구문화사, 1966)
『한국시조문학전사(韓國時調文學全史)』(박을수, 성문각,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