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서유고 ()

봉서유고(권4) / 동사표
봉서유고(권4) / 동사표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신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신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신범의 본관은 영월(寧越). 자는 중연(中淵), 호는 봉서(蓬西). 신석우(辛錫瑀)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천강씨(信川康氏)로 강계악(康桂岳)의 딸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김평묵(金平默)·유중교(柳重敎)·서응순(徐應淳) 등과 교유하였다. 최익현(崔益鉉)의 발문에 의하면, 저자의 문장은 과장이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데에 빠지지 않고 인의(仁義)·충신·인륜의 정상(正常)의 이치에서 나왔으며, 그 학문은 『소학』을 근본으로 하고 『주역』에 조예가 깊어서 기수(氣數)·하락(河洛)에 독창적인 글을 남겼다고 한다.

편찬/발간 경위

1903년에 신범의 손자 신상묵(辛象默)과 사위 이석범(李錫範)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용직(李容稙)·윤헌(尹瀗)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익현과 후손 신승우(辛承禹)·신규집(辛奎集)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신서(新序) 1편, 시 120여수, 권2에 서(書) 7편, 여문(儷文)·명(銘) 각 4편, 계(誡) 3편, 권3에 서(序) 9편, 기(記) 8편, 문(文) 12편, 권4에 설(說) 11편, 논(論) 3편, 잡저 12편, 잡변(雜辨) 6편, 동사표(東史表), 의차문답(擬箚問答), 권5에 기수해(氣數解), 권6에 태극문답(太極問答), 권7에 속집으로 행장·신발(新跋)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보결전성책서(補結錢成冊序)」는 봉평(蓬坪)은 면(面)의 크기에 비해 역(役)의 부담이 크고, 개량을 하지 않아 결폐(結弊)가 특히 심하기 때문에 보결전을 마련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사회경제적인 문제를 논한 글이다. 「동사표」는 단군조선에서 고려까지의 우리 역사를 간략히 설명한 글이다. 특히 삼한 가운데 마한을 정통으로 여기는 저자의 역사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글이다.

「태극문답」은 태극설에 관한 문답이다. 「삼현일관(三賢一貫)」은 이이(李珥)와 이황(李滉)의 이기론(理氣論)의 차이점을 요약한 뒤, 그러한 차이가 생기게 된 것은 당시 유학자들의 학문수준 차이에 있다고 지적하고, 이이·이황과 이들의 설을 겸한 송시열(宋時烈) 등 삼현(三賢)의 설이 일치한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삼가일견(三家一見)」에서는 자신은 이이의 이기론을 따른다고 밝히면서, 노불(老佛)과 순자(荀子)·양자(楊子)는 인식이 그릇되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19세기 유학자의 사상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참고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