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이 김선달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의, 풍자적인 인물인 봉이 김선달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봉이 김선달 설화」는 조선 후기의 풍자적인 인물인 봉이 김선달에 관한 설화이다. 이 설화는 조선 후기 평양 출신인 김선달이 자신의 경륜을 펼치기 위해 서울에 왔다가 지역과 문벌로 차별 받아 뜻을 얻지 못하자 도리어 세상을 휘저으며 양반, 상인, 종교인들을 기지로 골탕 먹이는 이야기이다. 조선 후기 유행하던 건달형 인물 전설이다. 대동강 물을 팔았다는 일화에서 김선달은 치밀한 계획과 자본을 투자하여 뻔뻔하게 남을 속이는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상과 새로운 인간형을 엿볼 수 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풍자적인 인물인 봉이 김선달에 관한 설화.
내용

인물전설이며, 개성 이북의 서도 지방에 널리 분포하던 건달 이야기가 현재는 여러 야담집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다.

구전 설화에서는 방학중 · 정만서(鄭萬瑞) · 정수동(鄭壽童) 등의 인물전설과 중복되는 일화가 상당수 있어, 김선달도 이들과 비슷한 성격의 인물로 이해된다.

문헌 설화로는 1906년 『황성신문』에 연재된 한문 주1 소설인 「신단공안(神斷公案)」의 네 번째 이야기 「인홍변서봉 낭사승명관(仁鴻變瑞鳳浪士勝名官)」에서 최초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그 이전인 19세기에 이 이야기가 널리 유포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설화의 내용은 평양 출신의 주2 김선달이 자신의 주3을 펼치기 위하여 서울에 왔으나 서북인 차별 정책과 낮은 문벌 때문에 뜻을 얻지 못하여 탄식하다가, 이후 세상을 휘젓고 다니며 권세 있는 양반, 부유한 상인, 위선적인 종교인들을 기지로 골탕을 먹이는 여러 일화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여러 일화를 꿰어 하나의 전(傳)으로 꾸민 한문 현토본 소설은 다소 성격이 다르다. 구전 설화에서는 본명이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소설에서는 '김인홍(金仁鴻)'이라는 본명과 '낭사(浪士)'라는 자호를 소개하며, 그의 건달 행각의 배경을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풍자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비범성을 부각하고 있다.

김선달이 '봉이'라는 별호를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내력이 있다. 김선달이 하루는 장 구경을 하러 갔다가 닭을 파는 가게 옆을 지나가게 되었다. 마침 닭장 안에는 유달리 크고 모양이 좋은 닭 한 마리가 있어서 주인을 불러 그 닭이 봉(鳳)이 아니냐고 물었다. 김선달이 짐짓 모자라는 체하고 계속 묻자 처음에는 아니라고 부정하던 닭 장수가 '봉'이라고 대답하였다. 비싼 값을 주고 그 닭을 산 김선달은 원님에게로 달려가 그것을 봉이라고 바치자, 화가 난 원님이 김선달의 볼기를 쳤다. 김선달이 원님에게 자기는 닭 장수에게 속았을 뿐이라고 하자, 닭 장수를 대령시키라는 호령이 떨어졌다. 그 결과 김선달은 닭 장수에게 닭 값과 볼기 맞은 값으로 많은 배상을 받았다. 닭 장수에게 닭을 봉이라 속여 이득을 보았다 하여 그 뒤 '봉이 김선달'이라 불리게 되었다.

김선달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 대동강 물을 판 이야기가 가장 유명하다. 김선달이 대동강에 물을 길러 오는 사람들에게 돈을 한 푼씩 주고 다음날 도로 받겠다고 했는데, 다음 날 외지인이 이 장면을 보고 궁금해 하자 김선달은 대동강 물을 팔고 있다고 했다. 욕심이 난 외지인이 김선달에게 많은 돈을 주어 대동강 물을 팔 권리를 샀다가 나중에 속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이야기이다.

의의와 평가

「봉이 김선달 설화」는 조선 후기의 역사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봉이 김선달은 방학중 · 정만서 등 비슷한 행적을 가진 동시대의 풍자적 인물들의 설화와 함께 변모하는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인간형으로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특히 김선달의 경우 치밀한 계획과 자본을 투자하여 남을 속이는 것이 특징으로, ‘대동강 물을 판 봉이 김선달’로 회자되며 오늘날에도 마당놀이, 영화, 웹툰 등 다양한 매체에서 그려 내고 있고, 이런 류의 인물이나 사건을 비유할 때 '현대판 봉이 김선달'로 표현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김용철, 『(한국의 해학)봉이 김선달, 하원 정수동』(명문당, 1985)
김용철, 『해학소설대전집』 2(노벨문화사, 1970)
김진구, 「관서명물 김봉이」(『별건곤』 4-7, 경인문화사, 1929)
박흥민, 『(傑作諧謔小說)鳳伊 金先達』(삼중당, 1961)
『신단공안(神斷公案)』
「인홍변서봉랑사승명관」(『황성신문』, 1906. 6.28.∼8.18.)
翠雲生, 「近代朝鮮奇人怪人傑」(『第一線』 2-7, 보성사, 19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6)

논문

김난경, 「건달형 인물전설의 전승지역 특징과 이행기적 성격」(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나수호,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방학중, 정만서, 김선달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최원식, 「봉이형 건달의 문학사적 의의」(『우전신호열선생고희기념논총』, 창작과 비평사, 1983)
주석
주1

한문에 토를 다는 일. 우리말샘

주2

재주가 뛰어난 남자. 우리말샘

주3

일정한 포부를 가지고 일을 조직적으로 계획함. 또는 그 계획이나 포부.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