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04년(순조 4) 7세손 재신(載伸)이 편집, 간행했고, 1883년(고종 20)에 11대손 채섭(采燮)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재신·채섭·권승유(權承有)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본문·보유·부록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문에는 시 65수 외에 「과시부론(科詩賦論)」이라는 제목으로 고시(古詩) 2수, 부(賦) 3편, 논(論) 1편, 그리고 1872년 채섭이 집필한 그의 「연보보유주(年譜補遺註)」가 실려 있다. 보유에는 그의 형 경수(慶受)의 시 25수가 수록되어 있고, 부록에는 선조의 사제문(賜祭文)과 연보·행장·시장(諡狀) 등이 첨부되어 있다.
저자는 문장으로도 이름이 있었다고 서문에 기록되어 있지만, 「왕도론(王導論)」 외에는 모두 없어지고 시와 부만이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절구·배율·고시가 대부분인데 운치가 있다.
부 가운데 13세 때 지은 「비형곡부(悲硎谷賦)」가 특히 유명하다. 이는 진시황제(秦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 참화를 개탄한 노래로, 많은 사람들에게 애송되었다고 한다.
유일한 문장인 「왕도론」은 1534년(중종 29) 별시문과에서 답안으로 작성한 것이다. 진나라 재상 왕도(王導)의 정치적 잘잘못을 논리정연하게 비평하고, 아울러 재상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논한 것이다. 유교적 정치사상의 일단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