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사굿 (굿)

목차
관련 정보
불사거리 / 불사제석거리
불사거리 / 불사제석거리
민간신앙
의례·행사
서울 · 중부지역의 재수굿에서 불사신을 모시는 굿거리.
이칭
이칭
불사제석거리, 천궁맞이
목차
정의
서울 · 중부지역의 재수굿에서 불사신을 모시는 굿거리.
내용

달리 ‘천궁맞이’·‘불사거리’라고도 하는데, 제석거리와 흡사하다. 불사신의 신격은 분명하지 않고 다만 불교적으로 윤색된 명칭으로 보인다. 불사굿과 혼용되는 천궁맞이의 ‘천궁’은 하늘을 말하는 것이다. 신들린 무당의 명도에는 일월·칠성이 함께 있는 천궁이 많은데, 이로 미루어볼 때 천궁은 천신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겠다. 불사굿은 반드시 마당에 불사맞이 상을 차려놓고 굿을 한다.

제물은 생선이나 육식을 금하고 백설기를 놓는다. 무복은 모두 흰색으로 하며, 부채도 흰 것을 사용한다. 무당은 장삼을 입고 고깔을 쓰고 가사를 메고 염주를 걸어 승복차림을 한다. 사방으로 하늘을 향해 신을 청한 뒤 춤추고 물동이에 올라타 공수를 준다.

물동이에서 내려오면 ‘바라타령’을 부르고 밤이나 대추로 산을 준 다음 ‘불사노래가락’을 부른다. 이어서 계속 무복을 갈아입고 춤추고 공수주는 것을 되풀이하면서 불사굿의 부속거리인 불사호구·불사말명·불사신장·불사대감·불사창부 등을 모신다.

마지막에는 간단히 뒷전까지 하여, 불사굿은 간단하지만 일반적인 서울재수굿의 12거리를 모두 하는 형식을 취한다. 불사굿은 반드시 산 사람의 길복을 비는 굿에서만 행하고 지노귀굿에서는 하지 않는다.

불사거리는 제석거리와 함께 제물이나 복색 등에서 가장 불교적인 굿거리로, 불교와 무속의 교섭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朝鮮巫俗の硏究』 下(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7)
「서울지역 무속의 특징」(황루시,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국고전문학연구회)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