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선물 (사랑의 )

현대문학
문헌
1922년, 소파 방정환이 개벽사에서 번역 · 번안한 세계 명작 동화집.
문헌/도서
간행 시기
1922년 7월 7일
편역자
방정환
책수
1
출판사
개벽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랑의 선물』은 1922년 방정환이 개벽사에서 번역·번안한 세계 명작 동화집이다. 방정환은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이탈리아, 영국, 독일, 덴마크 등 유럽의 아동문학 작품 10편을 선정해 간결한 입말체로 소개했다. 이 동화집은 1920년대 이후,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과 발전에 상당히 영향을 끼친 동화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의
1922년, 소파 방정환이 개벽사에서 번역 · 번안한 세계 명작 동화집.
개요

『사랑의 선물』은 1922년 7월 7일 소파(小派) 방정환(方定煥, 1899~1931)이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기획해 개벽사에서 출간한 ‘세계명작동화집’이다. 방정환은 “학대받고, 짓밟히고, 차고, 어두운 속에서 우리처럼, 또 자라는 불쌍한 어린 영들을 위하여 그윽히 동정하고 아끼는 사랑의 첫 선물로 나는 이 책을 짰습니다.”라고 기획 의도를 밝히고 있다. 1922년 초판 발행 후 1928년까지 제11판을 발행할 정도로 상당히 인기를 얻으며, 판을 거듭할 때마다 2천부씩 인쇄되었고 11판까지 2만부 이상 판매됐다.

『사랑의 선물』의 초판본은 아직 미발굴 상태이고, 주1 『사랑의 선물』은 1926년 7월 15일 10판본이 개인 주2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현전하는 10판본과 11판본은 초판본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표지와 판권장의 발행소에 대해서는 개벽사와 박문서관을 놓고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구성 및 특징

『사랑의 선물』은 제호 위에 ‘세계명작동화집(世界名作童話集)’이라는 타이틀을 붙였다. 책의 구성은 표지, 목차, 헌사 격의 방정환 서문, 추천사 격의 김기진 서문, 본문 10편(191쪽)으로 200쪽 분량인데, 한글체로 번안 또는 주3의 파생에 가깝게 창조적으로 번역됐다. 본문은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독일, 덴마크 등 유럽의 아동 소설, 전래 동화, 창작 동화, 동화극 등 다양한 장르와 성격의 작품이 실려있다. 수록 작품은 에드몬드 데 아미치스의 「란파션(이태리)」, 샤를 주4의 「산드룡의 류리구두(불란서)」, 오스카 와일드의 「왕자와 제비(영국)」, 로라 곤젠바흐의 「요술왕 아아(시시리아)」,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의 「한네레의 죽음(독일)」, 작자 미상의 「어린 음악가(불란서)」, 그림 형제의 「잠자는 왕녀(독일)」과 「텬당가는 길(독일)」, 작자 미상의 「마음의 꽃(미상)」, 한스 크리스티안 주5의 『꼿속의 작은이(덴마크)」 등 10편이며 작가명 없이 텍스트의 제목 밑에 국가명만 밝혀 놓았다.

『사랑의 선물』은 동화 10편에 삽화 14점을 작품 내용에 따라 배치했다. 문체는 동화 구연을 하는 듯한 리듬이 흐르는 한글 입말체로 바꿔놓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수록 작품은 전문을 그대로 번역하기 보다는 낯선 외국 동화를 어린이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한 입말체와 단어로 풀어 쓰거나 주제 의식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줄거리를 요약하고 조선의 상황에 맞게 변형하였다. 예를 들어 「산드룡의 류리구두」를 보면 샤를 페로의 원본이나 마사오의 일본어 번역본에서 찾아볼 수 없는 ‘비단 구두’와 무도회 복장을 ‘한복’으로 바꾸었고, 요정도 ‘선녀 같은 색시’로 변모시킨다. 번역 태도는 동화 구연가로서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거나 감정을 고양시키기 위해 서사 전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거나 등장인물의 심정을 대변하는 서술 방식을 취했다. 또한 주요 메시지는 학대받는 어린 생명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천도교적 이상 세계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었다.

문학사적 평가와 의의

『사랑의 선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해 민족 해방 운동이자 소년 운동의 차원에서 창조적으로 기획되고 번안 · 번역된 동화집으로, 민족주의에 대한 내면화와 전래 동화 찾기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또한 1928년 판매 부수가 2만부에 달할 정도로 대중적으로 읽힌 베스트셀러 동화집이며, 근대 아동문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방정환이 이 책을 통해 확립한 멜로드라마적 양식과 숭고성의 미학은 한국 아동문학의 중요한 문범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방정환, 『사랑의 선물』 (『방정환전집』 1, 창비, 2019)

단행본

정선희, 「을유문화사 출판물」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창비, 2023)
조은숙, 「사랑의 선물」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정보센터, 『한국근대문학해제집』 1, 2015)

논문

김순녀, 「‘신데렐라’의 문화적 이미지-페로와 방정환의 판본과 여러 번역본 비교연구」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박종진, 「사랑과 의지의 결정체 『사랑의 선물』」 (『아동문학평론』 47-2, 아동문학평론사, 2022)
염희경, 「근대 어린이 이미지의 발견과 번역·번안동화집」 (『현대문학의 연구』 62,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염희경, 「‘꽃묶음을 든 소녀’ 『사랑의 선물』 10판(1926년) 발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32,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장정희, 「『사랑의 선물』 재판 과정과 이본 발생 양상」 (『인문학연구』 51,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주석
주1

현재까지 전하여 오다. 우리말샘

주2

한 사람이 예술 작품 따위의 물건을 소유하는 행위. 또는 그런 물건. 우리말샘

주3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4

샤를 페로, 프랑스의 시인ㆍ평론가ㆍ동화 작가(1628~1703). 전설을 문학적으로 집성한 동화집을 펴내었다. 작품에 평론 <고대인과 근대인의 비교>가 있으며 <잠자는 숲속의 공주>, <신데렐라>, <장화를 신은 고양이>를 비롯한 11편의 동화가 실린 ≪페로 동화집≫이 있다. 우리말샘

주5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덴마크의 동화 작가ㆍ소설가(1805~1875). 서정적인 서술로 그려진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와 인본주의적 인간애가 넘치는 동화를 썼다. 작품에 <그림 없는 그림책>, <인어 공주>, <성냥팔이 소녀#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