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 ()

목차
가족
개념
임금이 내린 성 또는 임금이 신하에게 성을 내리는 행위를 가리키는 역사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임금이 내린 성 또는 임금이 신하에게 성을 내리는 행위를 가리키는 역사용어.
내용

우리나라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성을 바꾸지 않는다는 성불역(姓不易)의 원칙이 있다. 그러나 임금이 성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제약을 받지 않았다. 임금이 성을 내리게 되는 계기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원래 지금과 같은 우리식의 한자 성이 없어서 임금이 새로 성을 지어서 내리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우리나라 사람에게 처음으로 한자 성을 지어서 내리는 경우와 외국인으로서 우리나라에 귀화한 유공자에게 우리식의 한자 성을 지어 내리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다.

신라 유리왕이 6부의 촌장에게 각각 내렸다고 하는 이(李)·최(崔)·손(孫)·배(裵)·정(鄭)·설(薛) 등의 성은 앞의 경우에 속하고, 조선 태조 때에 여진인 퉁두란(佟豆蘭)에게 내린 이씨(李氏)와 선조 때에 일본인 사아(沙阿可劒)에게 내린 김씨(金氏) 등은 뒤의 경우에 속한다.

둘째, 이미 우리식의 한자 성을 가지고 있는 자에게 임금이 다른 성을 지어서 내리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임금이 신하의 특별한 공을 생각하여 다른 성을 내리는 경우와, 임금의 이름자를 피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성을 내리는 경우가 있다. 고려 태조가 김행(金幸)에게 내린 권씨(權氏) 등은 앞의 경우에 속하고, 고려 현종이 순응(荀凝)에게 내린 손씨(孫氏) 등은 뒤의 경우에 속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임금이 내린 사성 이외에 중국의 임금이 우리나라 사람에게 내린 사성도 있다. 고려 문종 때에 송나라 임금이 전임간(全林幹)에게 내린 문씨(文氏) 같은 것이 그러한 예에 속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한국중세사회사연구(韓國中世社會史硏究)』(이수건, 일조각, 1984)
『朝鮮の姓氏と同族部落』(善生永助, 刀江書院, 194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