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적 ()

목차
가족
개념
서자가 가계를 계승하는 가족제도.
목차
정의
서자가 가계를 계승하는 가족제도.
내용

합법적으로 혼인한 본처에서 난 아들, 즉 적자(嫡子)와 첩에서 난 서자를 구분하는 것은 어느 사회에서나 있는 제도이지만, 조선시대에는 가계를 계승시키는 데 있어서 특히 적자와 서자를 엄격히 차별하였다.

다만, 적자가 없는 경우에는 서자에게 가계를 계승시킬 수 있었고, 또 자기의 적자와 서자가 다 없을 경우에는 동성동본인 친족의 적자나 서자를 양자로 들여 가계를 계승시킬 수 있었다.

자기의 적자가 아닌 사람에게 가계를 계승시키는 이러한 여러 경우 중에서, 자기의 서자나 친족의 서자에게 가계를 계승시키는 것을 특히 승적이라 하고, 친족의 적자에게 계승시키는 것을 입후(立後) 또는 계후(繼後)라 하여 구별하였다.

승적과 입후는 모두 관찰사를 거쳐서 예조에 신청하여 허가를 받아야 시행이 가능하였다. 가계 계승에서 적자와 서자를 차별하는 이러한 제도는 중국의 유교적 친족제도를 도입한 고려 후기부터 시작되었고, 시대가 내려올수록 차별이 더욱 심해졌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에는 자기의 서자가 있는데도 그에게 가계를 계승시키지 않고 친족의 적자에게 가계를 계승시키는 입후의 사례가 나타나기도 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켰다.

참고문헌

『대전통편(大典通編)』
『한국가족제도연구(韓國家族制度硏究)』(김두헌,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집필자
최홍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