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오재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서종벽의 시 · 서(書) · 제문 · 전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서종벽의 시 · 서(書) · 제문 · 전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5권 3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경위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3에 부(賦) 1편, 시 357수, 권4에 서(序) 1편, 기(記) 2편, 제(題) 3편, 서(書) 13편, 권5에 제문 14편, 애사·유사·교문(敎文) 각 1편, 전(箋) 2편, 장(狀) 2편, 공사(供辭)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만월대(滿月臺)·백운대(白雲臺)·선유동(仙遊洞)·가야산·해인사 등 명승지를 찾아가 지은 시가 많다. 또한, 제야(除夜)를 맞아 자신의 지나온 생애를 회고하면서 지은 「제야즉사운(除夜卽事韻)」, 한거하는 생활을 읊은 「견한운(遣閑韻)」 등과 같은 시가 있다. 그밖에 차운(次韻) 형식으로 된 시가 많은데, 이주진(李周鎭)·김광연(金廣淵)·이민중(李敏中)·유수인(柳壽仁)·구택규(具宅奎) 등의 시에 차운하였다.

서(書)는 지방관으로 재임하고 있을 때 전정(田政)·잡역(雜役)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당시의 어사 임상원(林象元)·감사(監司) 이익보(李益輔)·조현명(趙顯命)·남위로(南渭老) 등에게 보낸 것, 이군칙(李君則)·이정섭(李廷燮) 등과 학문을 논의한 것 등이 있다. 공사는 삼척부사로 재임할 때의 공초(供招)로 노비추쇄(奴婢推刷) 문제와 관련된 것이다.

집필자
이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