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보범음집 ()

목차
불교
문헌
보현사에서 범패가사와 방법 등을 수록하여 1713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보현사에서 범패가사와 방법 등을 수록하여 1713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13년(숙종 39) 묘향산(妙香山)보현사(普賢寺)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월제(樾諸)가 쓴 서문이 있다. 서문에서 범패를 하는 자는 범패로써 교법을 선양한다는 뜻을 밝혔다.

그리고 그 범패의 시조는 신라 진감(眞鑑)에서 비롯되어 반운(伴雲)·응휘(應輝)·지선(智禪)·진일(眞一)에게로 전승되어왔음을 밝히고 있다. 상권에는 보청의식(普請儀式)·대소단법격금규식(大小壇法擊金規式)·습례의(習禮儀)·분수예식(焚修禮式)·영산단법(靈山壇法)·중례단법(中禮壇法)·삼보단법(三寶壇法)이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는 종실위단법(宗室位壇法)·성도재의(成道齋儀)·점안단법(點眼壇法)·신불이영의(新佛移迎儀)·별축상의문(別祝上儀文)·상축상의문(常祝上儀文)·추천재법의(追薦齋法儀)·사리이운의(舍利移運儀)·지반단법(志盤壇法)·결수단법(結手壇法)·예수단법(預修壇法)·풍백우사단법(風伯雨師壇法)과 제문인 각단소(各壇疏) 등이 서술되어 있다.

이어 중회작법(衆會作法)이라 하여 역대의 33조사(祖師)를 열거하고 우리나라 9산선문의 조사와 가영(歌詠)을 싣고 보조국사(普照國師)까지 열거하고 있다. 그 아래 괘불의식(掛佛儀式)과 수계의(受戒儀) 등이 이어지고 있으나 원문은 탈락되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참고문헌

『범음집(梵音集)』
『천지명양수륙재의오종범음집(天地冥陽水陸齋儀五種梵音集)』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