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말기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말기의 관직.
내용

고려말 공민왕대 첨설직(添設職)의 남발뿐만 아니라, 공공연한 뇌물의 횡행으로 재추직(宰樞職)까지 남발되었다. 상의(商議)는 찬성사상의(贊成事商議) 등의 형태로 재추의 관직 뒤에 붙여 그 관직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재추로서 도당(都堂: 都評議使司)에 합좌하여 국정을 의논하였으며, 고려 말기에는 도당의 구성원이 폭발적으로 증대하는 요인이 되었다. 심지어 그 수효가 최대 70∼80에 이르기까지 했다고 한다. 단, 그 서열은 직사관(職事官)보다 아래에 있었으며, 도당에서 합좌는 하되 문서에 서명하지는 못하다가, 공민왕 말년부터 직사관과 마찬가지로 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색(李穡)이 지은「광통보제선사비명(廣通普濟禪師碑銘)」에는 1377년(우왕 3) 당시의 재추 49명의 명단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상의가 19명이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고려말에 재추의 수가 매우 많았음과 그 중에서 상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러한 현상을 관제의 문란으로도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양반 수의 절대적인 증가에도 그 원인이 있다고 지적되었다. 즉, 관직 수는 적은데 비해 거기에 나아가고자 하는 양반 수가 많아짐으로 인해 그 과정에서 갖가지 부정부패가 일어나고, 그에 따라 관제의 문란도 야기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事節要)』
『목은문고(牧隱文藁)』
「고려후기 도평의사사 연구」(김광철,『한국중세사연구』5, 1998)
「고려후기 도평의사사 체제의 성립과 발전」(김창현,『사학연구』54, 1997)
「고려말기의 첨설직」(정두희,『진단학보』44, 1978)
「고려도당고」(변태섭,『역사교육』11·12합, 1969:『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