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 ()

목차
관련 정보
남도판소리 서편제 / 안채봉
남도판소리 서편제 / 안채봉
국악
개념
섬진강을 중심으로 전라도의 서쪽지역에 전승되는 판소리 소리제.
목차
정의
섬진강을 중심으로 전라도의 서쪽지역에 전승되는 판소리 소리제.
내용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대가닥조에서 처음으로 동편제·서편제·중고제 등으로 구분하였다.

전라도 서쪽지역을 말하며, 섬진강을 중심으로 서편지역, 즉, 광주·보성·나주·고창 등이 전승지이다.

슬픈 계면조의 노래가 대부분이며, 정교한 시김새(꾸밈음)를 사용하고, 가벼운 발성으로 일관한다. 부침새(노래말을 선율에 붙이는 것)는 비교적 섬세하게 구사되며, 구절의 끝 음을 길게 빼는 경우가 많다. 소리의 들거나 뉘는 것도 제에 따라 다른데, 서편제에서는 꼬리를 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서편제는 동편제 보다 많은 기교를 쓰기 때문에 장단의 진행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계면조(界面調)의 쓰임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서편제는 시기적으로 가장 늦게 생긴 소리제이다. 여러 유파 가운데 가장 세련된 면이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기교를 쓴다.

서편제 소리는 박유전(朴裕全)의 법제를 표준으로 하여 전승되어 온 것이다. 박유전의 소리는 그의 수제자 이날치(李捺致)와 정재근(鄭在根)에게 전해졌다. 이날치의 소리는 이창윤(李昌允)·강룡환(姜龍煥)·김채만(金采萬)에게 전해졌다.

이창윤(李昌允)과 강룡환(姜龍煥)의 소리제는 끊어졌고, 김채만(金采萬)의 소리는 공창식(孔昌植)·박종원(朴宗元)·박동실(朴東實)·성원목(成元睦)에게 전해졌다. 공창식(孔昌植)·박종원(朴宗元)·박동실(朴東實)의 소리는 김소희(金素姬)·한애순(韓愛順)·한승호(韓承鎬)에게 일부 전해지고 있다.

김소희의 심청가는 박동실제를 중심으로 짠 것으로 LP와 CD음반으로 취입한 바 있으며, 한애순은 박동실제 심청가 전 바탕과 춘향가 일부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의 심청가는 가장 박동실제에 충실하다고 한다. 정재근(政在根)이 이어 받은 박유전(朴裕全)의 소리는 정응민(鄭應珉)에게 전해졌다.

정응민은 춘향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 네마당을 잘 하였는데, 심청가도 정재근에게 배운 박유전제이고, 수궁가·적벽가도 박유전제이다. 춘향가는 깁찬업(金贊業)에게 배운 김세종(金世宗)제 춘향가로 서편제 판소리가 아니다.

정응민의 심청가는 정권진(鄭權鎭)·성우향(成又香)·안채봉(安彩鳳)·성창순(成昌順)·조상현(趙相賢)이 이어 받았고, 정응민제 수궁가는 정권진(鄭權鎭)·조상현(趙相賢)이, 적벽가는 정권진에게 전승되었다.

서편제의 한 분파인 강산제(또는 보성소리)는 서편제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박유전의 심청가를 듣고 대원군이 “네가 강산 제일이다”라고 극찬한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그의 호에서 따왔다고도 한다. 그 뒤 강산제는 정재근(鄭在根)과 정응민(鄭應珉), 정권진 등 전라남도 보성(寶城)의 정씨 문중을 통해 전수되고 현재는 성창순·성우향·조상현 등으로 그 맥을 잇고 있다.

참고문헌

『전설적인 명창들: 판소리』(조선일보, 이왕준, 1996)
『우리가락 우리문화』(한명희, 조선일보사, 1994)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7)
「판소리 제에 대한 연구: 동편제·서편제·중고제 전승을 중심으로」(이보형, 『한국음악학논문집』, 1982)
『서편제 판소리』(LG미디어 CD, 1996)
『동편제 판소리』(서울음반 CD, 199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경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