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변 ()

목차
관련 정보
벽위편 / 신돈와서학변
벽위편 / 신돈와서학변
천주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신후담이 당시 전래된 서학서(西學書)에 대하여 논박한 평론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신후담이 당시 전래된 서학서(西學書)에 대하여 논박한 평론서.
내용

원저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다만 이만채(李晩采) 편저의 『벽위편(闢衛編)』 제1권 14면에서 47면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이것이 「서학변」의 전부인지 혹은 발췌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국에는 17세기 초부터 한역(漢譯) 서학서가 주로 북경을 왕래하던 사신들을 통해 들어왔다. 신후담은 이 글에서 이렇게 전래된 삼비아시(Sambiasi, F., 畢方濟)의 『영언여작(靈言蠡勺)』과 리치(Ricci, M., 利瑪竇)의 『천주실의(天主實義)』에 대해 장문의 논평을 했다.

『천주실의』에 대해서는 천지창조설 등을 일일이 논박했으며, 『영언여작』에 대해서는 서학에서 주장하는 영혼의 자립성과 불멸성을 일축하고 있다. 『벽위편』에는 이 글의 저작연대가 신후담이 23세 때인 1724년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깊이있는 논평 내용으로 보아 원숙기에 쓴 후기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서구사상의 도입비판과 섭취」(박종홍, 『한국천주교회사논문선집』1, 한국교회사연구소, 1976)
「신후담(愼後聃)의 서학변에 관한 연구」(최동희, 『아세아연구』5-2, 197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석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