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내용

불상 높이 1.5m, 대좌 높이 96㎝.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원래의 소재지를 알 수 없으나 현재 사각형의 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 부분이 불신(佛身)보다 큰 편이며 어깨에 비해 양 무릎의 폭이 넓고 높게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당당하면서도 신체 비례가 잘 맞지 않다.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낮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어 뚜렷하지 않다.

얼굴은 마멸이 심하여 세부 표현을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유난히 좁은 이마에 뺨이나 턱에는 양감이 있으며 미소가 남아 있다. 좁은 어깨는 목 부분과 거의 붙어 있어 움츠린 듯하다.

양감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하고 있는 두 손은 오히려 크고 두툼하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지나치게 가슴 위로 치켜들고 있어 어색한 느낌을 준다. 특히 지권인의 수인을 보면 오른손이 왼쪽 손가락 전체를 움켜쥔 듯하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이후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걸쳤다. 특히 소매 부분과 다리 아랫부분에 밀집된 옷주름 표현과 투박한 조각 기법에서 형식화된 경향이 나타나 있다.

대좌는 상 · 중 · 하대로 구성된 사각대좌로 되어 있으나 각각 떨어져 있고 불상에 비해 대좌가 유난히 높은 편이다. 상대에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돌아가며 새겨져 있다.

중대에는 각 면을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약간 파내어 테두리 선을 만들었다. 그 안에는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갖춘 불상을 배치하였다.

앞면에 있는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을 북면으로 설정하면, 남면에는 약합(藥盒)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 동면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석가불, 서면에는 상품상생인(上品上生印)의 아미타불상이 조각되었다.

즉,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에서는 보기 드물게 사방불(四方佛)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사방불은 모두 여래형을 취하고 있다. 단지, 남면의 상만 육계가 없고 보발(寶髮)이 어깨에까지 내려와 있는 보살 형식 또는 두건을 쓰고 있는 지장보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강명경 金剛明經≫에 의한 사방불은 동방 아촉불(阿閦佛), 서방 무량수불(無量壽佛), 남방 보상불(寶相佛), 북방 미묘성불(微妙聲佛)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경전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에 나타나는 사방불도 당시 널리 신앙되고 있었던 불상을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아래로는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와 탱주(撑柱: 버팀기둥)만 표현된 하대석이 놓여 있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비례감이 맞지 않는 신체 표현이나 당당하면서도 양감이 줄어든 모습, 다소 거칠고 투박한 조각 기법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상 양식을 계승한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서울문화재대관』(삼성출판사, 1987)
『서울의 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