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사기 ()

목차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저술한 『선문염송』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저술한 『선문염송』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선문염송』은 고려의 혜심(慧諶)이 중국 선가(禪家)의 공안(公案) 1,125칙(則)과 그에 대한 여러 선사들의 염(拈)과 송(頌)을 모아 30권으로 편찬한 책이다. 이 책은 긍선이 『선문염송』에 대한 주각(註脚)을 더한 것으로, 선가의 중심사상과 그 성격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서술하였다.

1권의 서두에서부터 여래선(如來禪)·조사선(祖師禪)·의리선(義理禪) 등의 삼종선(三種禪)과 임제삼구(臨濟三句)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본론 부분에서는 석가모니의 삼처전심(三處傳心), 달마(達磨)의 삼처전심, 임제의 삼구와 삼현(三玄)·삼요(三要), 오종가풍(五宗家風) 등을 설명하여 『선문염송』을 이해하게 하는 범주로 삼았다. 다음으로 「말후구최초구(末後句最初句)」·「의리격외변(義理格外辨)」에서는 말후구와 최초구, 의리선과 격외선의 대의를 밝혔다.

「전수무전수이선부동(傳受無傳受二禪不同)」에서는 본래 깨달은 마음 바탕으로 보면, 전하고 받을 것이 없지만 미함을 깨친다는 입장에서 보면 전하고 받을 것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격외조령사기(格外祖令私記)」에서는 “격외선이 곧 조사선이요 여래선이 곧 의리선이다.”라고 한 설을 소개한 다음, 이와는 달리 의리선·여래선·조사선이 각각 다른 성격을 가진 것임을 주장하여 후세에 많은 시비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