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분기담 ()

목차
관련 정보
오옥기담 / 선분기담
오옥기담 / 선분기담
고전산문
작품
작자 미상의 신소설.
목차
정의
작자 미상의 신소설.
내용

국문필사본. 1906년에 필사된 단편소설집 『오옥기담(五玉奇談)』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현실세계와 선계(仙界)에서 벌어지는 남녀 주인공의 기이한 결연담을 그린 작품이다.

호남 땅에 우심(禹尋)이란 소년이 상대(湘臺)에 모셔진 이비(二妃)의 화상을 보고 느낀 바 있어 시 한 수를 읊었는데, 그날 밤 천산에서 하강한 한 여인을 얻어 배필로 맞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우심의 눈에만 보이는 영혼이다. 그 여인이 주는 금낭(錦囊 : 비단으로 만든 주머니)을 우심이 찼더니 곧 과거에 급제하게 된다.

어느 날 여인은 인간세상에서의 목숨이 끝났음을 말하고, 15년 뒤에 다시 태어나 우심과 부부의 인연을 맺겠다고 약속하고 자취를 감춘다. 우심은 여인을 사모하여 벼슬도 마다하고 상심하여 눕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하씨(河氏)라는 사람의 딸이 모든 혼처를 거절하고, 다만 우군(禹君)을 기다린다고 하므로, 그 여인을 찾아가 금낭을 내보이니, 이가 바로 오랜 세월을 두고 찾던 여인이었다.

두 사람은 곧 혼인하여 2남 1녀를 얻는다. 혼인 후 45년이 지나자 하씨녀는 진세의 연분이 다하였음을 이르고 옥황상제의 부름을 받고 상천하고, 우심도 자녀들에게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나니, 후손들이 충절을 이어 명망이 세상에 진동하였다.

이 작품에서 우심의 처 하랑은 천상의 신선으로 등장한다. 하랑의 금낭은 마술의 주머니로, 하랑은 「박씨전(朴氏傳)」에서 도술에 능한 박씨와 유사하다. 선계의 인연을 지닌 하랑은 우심까지 선화(仙化 : 노인이 병이나 탈이 없이 죽음을 이룸.)시킨다. 결국 이 작품은 현실과 선계가 융합되어 빚어진 그야말로 선분기담이다.

참고문헌

「오옥기담」(김기동 편, 『필사본고전소설전집』21권, 아세아문화사, 1983)
「오옥기담」(소재영,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1980)
「미발표 소설 삼제」(소재영, 『국어국문학』55∼57, 197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소재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