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광익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문헌
중국 북경에서 예수회 선교사 마이야가 주일과 축일의 복음성서를 한역(漢譯)하여 1740년에 간행한 천주교서. 한역서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북경에서 예수회 선교사 마이야가 주일과 축일의 복음성서를 한역(漢譯)하여 1740년에 간행한 천주교서. 한역서학서.
내용

1740년 북경에서 2권 2책으로 간행되었다.

『사학징의』의 기록에 의하면, 1801년 신유박해 때 체포된 초기 신자들의 집에서 이 책의 한문본과 한글본이 다수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성경광익』은 우리나라에 전래된 후 한문본은 물론 한글로 번역 필사되어 널리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책의 첫머리에는 묵상에 대한 설명과 함께 여러 가지 묵상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고, 이어 본문에서는 당시의 교회력에 따라 주일과 축일마다 그에 맞는 성서 구절이 모두 22장으로 해설되어 있다.

각 장은 그날에 필요한 성서 구절을 서술한 부분과 이를 요약하여 묵상 자료를 제시해 주고 묵상 뒤 마땅히 실천하여야 할 덕목을 제시한 ‘의행지덕(宜行之德)’, 그리고 마땅히 드려야 할 기도를 제시한 ‘당무지구(當務之求)’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의행지덕’과 ‘당무지구’는 필사본 『셩경직ᄒᆞㅣ광익』과 이를 대본으로 1890년대 활판본으로 간행된 한글본『성경직해』에 그대로 인용되었다. 그러므로『성경광익』은 조선에 전래된 뒤 초창기 신자들이 성서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글본 『성경광익』은 남아 있지 않으며, 1866년 상해의 자모당(慈母堂)에서 중간된 활판 한자본과 간행연도 미상의 목판 한자본이 한국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
『추안급국안(推案及鞠案)』
「성경직해의 연구」(조화선, 『최석우신부화갑기념 한국교회사논총』,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사학징의(邪學懲義)를 통해 본 초기천주교회(初期天主敎會)」(최석우, 『교회사연구』제2집,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