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례전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의례·행사
비가시적인 신의 은총을 가시적인 매체와 상징행동을 통해 전달하는 기독교의례.
이칭
이칭
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례전은 비가시적인 신의 은총을 가시적인 매체와 상징 행동을 통해 전달하는 기독교의례이다. 물, 빵, 포도주, 물질을 매개로 한다. 물을 매개로 하는 의례는 세례, 빵과 포도주를 매개로 하는 의례는 성만찬이다. 개신교에서는 이 두 성례전(聖禮典)을 행한다. 성례전이라는 한자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규칙이 있는 거룩한 예배로서, 구술 언어만이 아닌 물, 빵과 포도주를 매개로 해서 신의 은총을 구하는 상징 행동이다. 천주교에서는 성사(聖事)로 번역하고 일곱 개의 성사를 거행한다.

목차
정의
비가시적인 신의 은총을 가시적인 매체와 상징행동을 통해 전달하는 기독교의례.
내용

천주교에서는 성사(聖事)라고 한다. 이 말의 원어는 sacramento라는 라틴어이다. 초대 교부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us, 주1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주2가 신학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초대 교회에서는 세례의식과 성만찬의식을 예전으로 삼아 교회의 주3 전체가 참여하였으며, 주4 주5와 혼인 · 고백의식은 회중 전체와는 무관하게 거행되었다.

그러나 중세 교회에서는 이런 개인적 의식들도 포함되어 5종의 의례가 성례전에 첨부되었다. 견진(堅振) 주6 · 고백 주7 · 혼인(婚姻) 성사 · 신품(神品) 주8 · 병자 주9 등이 그것이다. 견진 성사는 세례를 받은 사람에게 기름을 발라 성령의 인(印)을 치고 굳센 믿음을 갖게 하는 의식이다. 고백 성사는 지은 죄를 고백하고 사죄받는 의식이며, 혼인 성사는 결혼의식이다. 신품 성사는 신부의 주10을 받는 의식이다. 병자 성사는 병자의 몸에 기름을 바르고 은총을 받는 의식이다.

천주교에서는 성체 주11가 중심이 되어 예수의 출생에서부터 십자가의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일생이 재연된다. 개신교에서는 종교 개혁 때 성례전에 관한 신학과 제도가 개혁되어 세례와 주12 두 가지로 성례전의 수를 줄였다. 그 이유는 성서에 따르면, 예수가 직접 행한 의식은 두 가지뿐이며, 교회 회중 전체가 참여하는 것만을 성례전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천주교에서는 성례전의 의식 자체가 스스로 효과를 낸다는 자효성(自效性)을 주장하나 개신교에서는 성례전에 참여하는 신자의 신앙이 효과를 낸다고 주장한다. 전자의 경우 성례의 집행자인 신부의 주13이 중요하고 성체 성사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신자들의 자발적인 신앙이 중요시되며 설교가 중심이 된다.

천주교에서 성례전의 의식 자체를 중요시한 까닭은 떡과 포도주가 의식이 거행되면서 그 실체가 예수의 몸과 피로 변하며, 세례 때의 물은 그 실체가 변하여 인간의 죄를 정화하는 신비로운 힘을 갖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신교에서는 물질의 실체 변화를 부인하고 그런 물질은 다만 은총의 징표라고 여긴다.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데, 마르틴 루터는 천주교의 주14을 거부하고 성만찬의 떡과 포도주에 부활한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실재함으로써 제의에 참여하는 사람 안에 들어가서 은총이 된다고 본다. 반면에, 칼뱅은 성만찬의 떡과 포도주는 예수의 죽음을 기념하는 재료이며 성례전 때 그리스도가 영적으로 임재하여 신자들을 감화하는 은총을 내린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의 보다 자유로운 견해는, 성만찬의 떡과 포도주는 상징이고 의식은 예수의 희생적 죽음에 대한 단순한 기억의 재료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천주교 · 정교회 · 성공회에서는 성만찬의식을 매 예배에서 행하고 있으나, 장로교 · 감리교 · 성결교 등 대부분의 개신교 교회에서는 한 해 4회 혹은 2회 정도 시행하며 일요일에 행하는 예배는 설교 중심으로 한다. 1960년대 후반부터 속행된 예배갱신운동과 더불어 성만찬의 기원과 의미가 재발견되고 확대되었으며, 성만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 영향으로 개신교 예배에서도 성만찬의식이 이전보다 더욱 빈번하게 행해지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독교는 식사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만큼 초기 기독교에서 식사는 공동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이 요소를 의례화한 것이 성만찬의식이다. 그러므로 천주교, 정교회, 성공회뿐만 아니라 개신교 모든 교회에서 성만찬의식의 중요성이 수용되고 있는 것이 최근 동향이다.

세례와 성만찬의식의 집례는 신부와 목사만이 할 수 있으며, 장로는 목사를 도와 주는 일을 한다. 세례받은 교인들만이 성만찬을 받을 수 있고, 교회로부터 벌을 받고 있는 동안에는 성만찬에 참여할 수 없다. 2000년 이래, 공동체의 환대라는 의미를 강조해서 세례를 받지 않은 사람에게도 성만찬 성물을 나누는 개방 성만찬(open communion)을 허용하는 개신교 교회도 있다. 개신교의 어떤 교파는 평생 한 번만 받는 세례의식이 신앙의 자각이 없는 유아에게 베풀어지는 것은 무효라고 주장하여 유아 세례제도를 없애 버렸다. 그러나 개신교의 주류 교회들은 부모와 교회가 공동으로 아이의 신앙을 책임진다는 뜻으로 계속 유아 세례의 전통을 시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년 세례를 받기 위해서는 교회의 지도 학습을 끝낸 학습 교인이 되어야 하며, 세례 문답을 통과해야 한다. 구세군교회에서는 세례의식 대신에 구세군 입영식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신교 교파들 사이에 주15의 세례를 인정해 주고 있기 때문에 교파를 옮기더라도 세례를 다시 받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천주교는 개신교에서 받은 세례를 인정하지 않는다.

1960년대 이래 기독교의 토착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우리나라의 전통의례를 대폭 수용하여 기독교 의례를 행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대두되기도 했다. 1987년 한국가톨릭문화토착화모임에서는 ‘선조를 기억하는 주16’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는 아직 상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에서는 지난 1971년에 마련했던 간이 지침을 현실에 맞도록 대폭 보완하여 가정의례 지침인 〈예식서〉를 펴내고 혼례 · 상례 · 추도식 · 성인의식 등 일반 주17에 해당되는 의식을 정리,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오랫동안 문제시되었던 조상 제사 문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과 기독교가 어떤 관계를 맺어야 창조적인 관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라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재호 편, 『기독교례식』 (성광문화사, 1981)
이장식, 『기독교사상사』 (대한기독교서회, 1963)
제임스 화이트, 김운용 역, 『성례전』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6)
주석
주1

쿠인투스 셉티미우스 플로렌스 테르툴리아누스, 카르타고의 교부(敎父)ㆍ신학자(160?~220?). 기독교 교리를 형성하고 신앙을 순화하고자 애썼다. ‘불합리하기 때문에 나는 믿는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었다. 우리말샘

주2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로마의 주교ㆍ성인(354~430). 기독교회의 고대 교부(敎父) 가운데 최고의 사상가이며, 교부 철학의 대성자(大成者)로, 고대 신플라톤주의 철학과 기독교를 결합하여 중세 사상계에 영향을 주었다. 저서에 ≪참회록≫, ≪삼위일체론≫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많이 모여 있는 사람들. 우리말샘

주4

거룩한 직분. 우리말샘

주5

기도를 할 때 또는 성직 수여식이나 기타 교회의 예식에서, 주례자가 신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 일. 우리말샘

주6

성세 성사를 받은 신자에게 성령과 그 선물을 주어 신앙을 성숙하게 하는 성사. 우리말샘

주7

‘고해 성사’의 전 용어. 우리말샘

주8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곧 사제가 되는 부제에게 사제로서의 신권(神權)을 부여하던 성사. 우리말샘

주9

사고나 중병, 고령으로 죽음에 임박한 신자가 받는 성사. 우리말샘

주10

직무를 맡김. 우리말샘

주11

성체를 받는 성사. 우리말샘

주12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날 밤에 열두 제자와 마지막으로 나눈 저녁 식사. 교회 성찬식은 이에서 유래되었다. 이 자리에서 유다의 배신을 지적하였다. 종교화의 제재로 주로 쓰이며, 특히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벽화가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13

사람이나 물건을 하느님에게 봉헌하여 거룩하게 하는 일. 우리말샘

주14

성찬식 때 먹는 빵과 포도주가 순간적으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고 하는 학설. 1551년에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교의로 선포된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가 인정하는 학설이다. 우리말샘

주15

저것과 이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6

부처님이나 스님 등 존경할 만한 사람에게 차를 올리는 의식. 우리말샘

주17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제사 등의 네 가지 전통적인 예식.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