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성재유고
성재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익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익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0책. 필사본. 1834년(순조 34) 5세손 준(濬)이 필사하였다. 3책 끝에 준의 지(識)가 있고, 5책 끝에 유상운(柳尙運)의 서(書)와 구루옹(傴僂翁)의 제(題)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4책에 시 1,118수, 만(挽) 155수, 제5책은 「북관록(北關錄)」으로 시 257수, 고시(古詩) 8수, 행시(行詩) 26수, 제6책에 소(疏) 29편, 장계 4편, 서(書) 1편, 제7책에 소 12편, 차(箚) 11편, 계(啓) 14편, 제8책에 소 20편, 서계(書啓) 19편, 차 26편, 계사(啓辭) 11편, 수의(收議) 7편, 제9책에 제문 26편, 축문 3편, 남유록(南遊錄) 1편, 서(序) 8편, 지(誌) 2편, 기(記) 5편, 행장·묘표·유사·설(說)·발(跋)·원사(原辭) 각 1편, 제10책은 부록으로 행장 1편, 서(書) 11편, 소록(所錄)·유사·잡록 등이 실려 있다.

소의 「전라감사시진민폐소(全羅監司時陳民弊疏)」는 저자가 전라감사로서 도내 20개 고을이 바치는 쌀과 콩을 베[布木]로 대납하라는 상부의 정책에 대해 민폐의 요소가 적지 않음을 지적, 이를 변통해 줄 것과 장기적인 대책 및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을 요청한 글이다.

「재호남시장계(在湖南時狀啓)」는 환곡에 관한 것으로, 제도의 불편한 점을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시정해 줄 것을 촉구하였다. 「재관서시장계(在關西時狀啓)」는 송도성(宋道成)의 옥사에 관한 것으로, 관대한 은전을 베풀어 원지 유배에 그칠 것을 건의하였다. 이밖에도 복제(服制)·예론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의 부당함을 극간한 내용도 있다.

「남상국서(南相國書)」·「박상국서(朴相國書)」·「김상국서(金相國書)」 등은 남구만(南九萬)·박세채(朴世采)·김석주(金錫胄) 등 당시 명사나 고관들과 시무(時務)를 논한 것이다. 「종묘악장수의(宗廟樂章收議)」·「도주전정죄수의(盜鑄錢定罪收議)」 등은 종묘·악장의 제정, 주전의 밀조에 대한 벌칙을 논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숙종 당시의 예송(禮訟) 및 사회 경제 관계의 자료들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재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