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정측면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5층 석조 불탑. 보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5층 석조 불탑. 보물.
내용

높이 6.6m. 석탑은 법당 터로 추정되는 곳에 석등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전형적인 신라 석탑에 비해 많이 변형된 모습을 보이지만, 성주사 터에 있는 다른 석조물과 비교할 때 통일신라시대 말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탑은 2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리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를 놓은 모습이다. 바닥돌인 지대석(地臺石) 위에는 여러 장의 돌로 구성된 하대석(下臺石)을 놓고서, 그 위에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面石)과 함께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을 새긴 돌을 올렸다. 아래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4장의 널돌로 이루어졌으며, 윗면의 경사는 눈에 띄게 뚜렷한 편이다. 윗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3단의 받침이 갖추어져 있는데, 위아래 단은 각진 받침으로 되어 있고, 가운데 단에는 둥근 테두리 장식이 새겨져 있다. 윗층 받침돌은 아래층 받침돌보다 훨씬 높으며, 4장의 널돌로 구성된 면석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조각되었다. 윗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아래층 받침돌의 덮개돌보다 좁은데,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고, 뚜렷한 경사를 이룬 윗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3단의 굄이 새겨져 있다.

윗층 받침돌과 1층 몸돌 사이에는 다른 돌로 만든 굄대가 있다. 이 굄대는 이 석탑의 특징으로,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하여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 1963년 지정)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굄대는 밑면이 소로[小累]와 같이 안으로 휘어진 굽 모양을 하고 있고, 윗면에는 테두리를 장식한 굄이 새겨져 있다.

각 층의 몸돌은 윗층으로 올라갈수록 우아한 체감률을 보이며, 모서리 기둥이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었다. 각 층의 지붕돌은 비교적 너비가 좁은 편인데, 밑면 받침은 4단이고, 추녀 밑은 거의 수평을 이루다가 모퉁이에서만 가볍게 위로 휘어진 반곡(反曲)을 보이고 있다. 지붕돌의 윗면인 낙수면은 완만하고, 전각(轉角)의 반전(反轉) 역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꼭대기에는 1단의 굄이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이 놓여 있지만, 보륜(寶輪)·보개(寶蓋) 등 다른 머리장식은 없어졌다.

이 석탑은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전형적인 신라 석탑이 각 부분에서 변형을 보이면서 고려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보령 성주사지내 석탑(3기) : 정밀실측조사보고서』(보령시청 다나건축사사무소, 2015)
『聖住寺址 : 9次 發掘調査 報告書』(백제문화재연구원, 2013)
『聖住寺址 : 8次·8次연장 發掘調査 報告書』(백제문화재연구원, 2012)
『聖住寺址 : 7次 發掘調査 報告書』(최봉균, 백제문화재연구원 보령시, 2011)
『충청남도문화재대관』 1-3(충청남도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신라석탑연구』(장충식, 일지사, 1987)
『문화재대관』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미술전집』6 석탑(황수영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保寧 聖住寺址 출토 명문와 속성과 특징」(임종태, 『지방사와 지방문화』 19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16)
「신라하대 聖住寺창건기 금당의 조성과 배경」, 『新羅文化』 45(임종태, 2015)
「보령(保寧) 성주사지(聖住寺址)의 가람변천(伽藍變遷) 연구(硏究)」(임종태, 『先史와 古代』 42, 2014)
「聖住寺址 實測調査 : 聖住寺址 第1次調査」(東國大學校博物館, 『佛敎美術』 2, 1974)
「성주사지석탑 해체와 조립」(홍사준,『고고미술』113·114, 1972)
「보령 성주사지 석탑고」(이은창,『사학연구』21, 1969)
집필자
정명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