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천강 ()

목차
관련 정보
함남 함흥 탑동리 고성 북벽에서 본 성천강(파노라마)
함남 함흥 탑동리 고성 북벽에서 본 성천강(파노라마)
자연지리
지명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과 북청군 안수면의 경계인 금패령(禁牌嶺, 1,676m)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과 북청군 안수면의 경계인 금패령(禁牌嶺, 1,676m)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강.
내용

길이 98.5㎞, 유역 면적 2,338㎢. 신흥군 동북방 함경산맥의 금패령에서 발원하여 신흥·원평·중리 등 3읍을 지나 함주군의 중앙을 흘러 동한만으로 들어간다.

상류는 물의 흐름이 급하고 수량도 비교적 풍부하다. 부전강(赴戰江)·장진강(長津江) 유역에 유역변경식 발전소가 설치된 후에는 압록강의 물이 합수하여 항상 유량이 풍부하다.

강의 하류에는 하상(河床)이 토사로 이루어져 분류가 많아 수운에 적합하지 못하다. 지류로는 호련천(湖連川)·흑림강(黑林江) 등이 있다.

강의 중류부 이상은 급류이고 강기슭에는 평야가 적으며 흑림강의 합류점 아래로 평야가 넓다. 조선 시대에 이미 성천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졌으나 그 이전은 확실하지 않다. 함흥평야는 함경남도에서 가장 넓은 평야로 성천강이 만드는 삼각주이다.

성천강을 주류로 하여 동성천강(東城川江)·여위천(汝渭川)·수원천(水院川) 등이 망류하는데 정평(定平) 부근에서는 복합삼각주를 형성한다. 그러나 성천강의 흐름이 빠르고 퇴적력은 크지만 동해안의 수심이 깊고 해안류의 발달로 인해 삼각주의 발달은 미약하다.

이 유역의 중심지로는 함흥과 흥남을 꼽을 수 있다. 함흥은 성천강 동쪽 반룡산(盤龍山)을 북에 등지고 있으며 서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끼고 있다.

본래 이 지역은 고려 시대 이후로 여진족이나 거란족들이 발호하던 지역으로 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평정된 이후에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함흥은 주변 평야에서 생산되는 산물 집산지였으며, 함경선의 개통과 장진강·부전강의 전원 개발이 이루어지고 여기에 대한 지원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중심지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

흥남은 부전강발전소의 건설과, 이에 따른 풍부한 전력을 이용하는 질소비료공장이 설립되면서 중요한 공업도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특히, 흥남 전면의 항구는 잘 정비되어 있어 대형 선박들의 출입이 가능하며 비료공장의 전용 항구로 쓰이고 있다.

유역 동남부의 서호진(西湖津)은 동해안 유수의 어항으로 명태·대구·청어·해삼 등의 생산이 많으며 해수욕장으로도 유명하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함북대관(咸北大觀)』(김성덕, 정문사, 196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