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은 육지에서 바다를 향하여 돌출된 경우 붙여지는 이름이다. 규모상으로 보면 반도보다 다소 작다. 침수 해안의 경우는 물에 잠기지 않은 산줄기 부분이 곶으로 발달하여 아름다운 경관인 해식애를 볼 수 있으며, 그곳에 등대를 설치하여 항해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또는 사취가 발달하여 바다의 돌출부로 자리잡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황해안에는 ‘곶’이 들어간 지명이 많다. ‘곶’ 지명 중에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지명은 갈곶(갈고지) · 돌곶(돌고지) · 배곶(배고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갈곶 또는 갈고지(갈구지)라 불리던 마을은 갈곶이(葛串里) · 갈곶리(乫串里) · 갈화리(葛花里) 등의 행정지명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어원상으로 보면 곶이란 돌출은 의미하며, ‘곧’에서 변하였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지명으로는 장산곶 · 호미곶 등이 있다. 이 지역들은 반도의 끝 부분인 곳에 남아 있으며, 한자에서 곶(串)이라고 차용하고 있다. 본래 우리나라에서는 반도라는 말이 없었고 육지가 바다로 튀어나간 곳이면 ‘곶(串)’이나 ‘갑(岬)’과 같은 한자를 사용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端) · 각(角) · 취(嘴) · 말(末) 등을 쓰기도 하였다. 옛 지명에서도 곶의 뜻이 들어간 곳이 많다. ‘꽃’의 어원인 ‘곶’과 음이 같아 한자식 지명으로는 ‘화’로 변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전라남도 장성군을 백제 때에는 고시리(古尸里)라고 불렀으며, 신라 때에는 갑성(岬城)이라 하였다. 여기서 고시와 갑은 곶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곶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혈구, 경기도 양주시의 양구, 안산시의 정항구, 파주시 교하읍의 옛 지명인 천정구(泉井口) 등의 경우 구(口)는 곶을 의미하는 고어이다. 그 외에도 고차(古次), 홀차(忽次)라 하는 경우도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에는 월곶(月串)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월곶은 달고지(달곶이)가 한자로 표기된 곳이다. 산의 옛말은 ‘달’이라 하였다. 산 기슭이 평야 쪽으로 불쑥 튀어나간 곳을 의미하기 때문에 붙은 지명이다.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의 고지리(古池里), 화성시 정남면의 고지리(古支里), 경상북도 영천시의 고지 등의 경우는 ‘곳’이 연철되어 ‘고지’로 변하고 그것이 그대로 한자화된 경우이다.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구지리(求芝里),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정곡리의 구지섬(九芝島) 등도 같은 경우이다. 서울의 살곶이는 즉, ‘삳(間)+곶=삳곶>살곶>살곶이’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살곶이라고 한자로 전관이 된 곳은 서울 뚝섬 일대의 지명뿐 아니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송교리,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도리리 등에도 있으며, 대호지면 두산리에는 살고지고개가 있다.
또한 곶을 기준으로 해서 위치를 말하다가 지명으로 변한 곳도 있다. 고잔은 곶의 안쪽이란 뜻이고 꽃밭은 꽃의 바깥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잔(古棧)과 화전(花田) 등은 곶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지명이 각각 한자로 변형된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