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은재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귀성(李龜星)의 시 · 서(書) · 상량문 · 축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귀성(李龜星)의 시 · 서(書) · 상량문 · 축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6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271수, 권3·4에 소(疏) 1편, 서(書) 33편, 서(序) 1편, 기(記) 2편, 발(跋) 2편, 잠(箴) 2편, 전문(箋文) 4편, 상량문 4편, 권5에 축제문(祝祭文) 12편, 애사 3편, 묘갈명 1편, 행장 3편, 권6은 부록으로 행장 · 묘갈명 등이 실려 있다.

시는 만시(挽詩)가 40여 수 포함되어 있다. 자연의 경치를 읊은 것뿐만 아니라 「최과(催科)」 · 「진정후우제(賑政後偶題)」 · 「우시(優時)」 등과 같이 지방관으로서 당시의 사회 경제적 상황을 보고 느낀 것을 읊은 것도 있다. 정원선(鄭元善) · 정희인(鄭希仁) 등의 시에 차운(次韻)하였고, 윤동수(尹東壽) · 금영택(琴英澤)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서(書)는 순조 초반 영남 지방의 향교를 둘러싼 향전(鄕戰)에 대해 이의수(李宜秀) 등과 의견을 주고받은 것, 향현사(鄕賢祠) 이봉(移奉)을 둘러싼 의견의 대립을 조정하기 위해 유태좌(柳台佐)와 오천김씨(烏川金氏) 문중과 주고받은 것 등이 있다. 이밖에 답인문(答人問)은 윤증(尹拯)과 박세채(朴世采)의 예설(禮說)의 차이를 논하고, 박세채의 설을 비판하고 윤증의 설을 지지하는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