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자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한자 본래의 정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속체의 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자 본래의 정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속체의 문자.
내용

『문헌통고(文獻通考)』 경적고(經籍考)에 속자를 당대(唐代) 통용의 예서(隷書)를 지칭하였으며[唐所謂古文者隷書今文者世所通用之俗字也], 『창랑시화 滄浪詩話』에서는 학시(學詩)에서 제외되는 것이 속자[學詩先除五俗云云四曰俗字]라 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속자는 풍아(風雅)에서 쓰이지 않았다.

중국의 한자는 그 대부분이 한 글자가 정자와 고자(古字), 정자와 속자, 또는 정자와 동자(同字), 정자 · 속자 · 약자(略字)를 각기 갖추고 있다.

그 중 정자와 속자가 갖추어져 있는 글자가 가장 많다. 이는 한자의 자체가 전서 · 예서 · 해서(楷書) 등으로 점차 발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자체의 시대적 · 지역적 · 방언적 차이도 들 수 있다.

정자와 속자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몇 가지 특징을 들 수 있다. 첫째, 자획이 간략하여 자의(字意)가 보다 분명하다[예 : 効(效) · 舘(館) · 国(國) · 体(體) · 胆(膽) …… ( )는 정자]. 둘째, 자획은 비록 다획화하였으나 그 자의가 보다 구체적이다[예 : 娼(倡) · 盃(杯) · 皷(鼓) · 塚(冢) · 樑(梁) · 靵(紐) …… ( )는 정자]. 셋째, 자획이 직선적이어서 필사(筆寫)에 편하다[예 :児(兒) · 亜(亞) · ○(兪) · 吊(弔) · 硏(○) …… ( )는 정자]. 넷째, 비교적 자음(子音)을 쉽게 알 수 있다. 다섯째, 풍아에 쓰이지 않은 글자이다.

속자에 있어서의 이러한 특질은 결국 민중의 이지적 표현으로 일찍부터 사용하였으니, 복잡한 자획이나 자원(字源) · 자의를 위하여는 불가피하다 하겠다. 이는 오늘날 약자나 간이자(簡易字)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 보아 알 수 있다.

한자에 있어서의 이러한 속자와는 달리, 중국의 운서(韻書)에도 없는 우리 민족 고유의 것으로, 우리 나라에서 만들어져서 오직 우리만이 사용하는 한자가 있다.

이를 『신자전(新字典)』에서는 ‘조선속자(朝鮮俗字)’라 하였는데, 이는 우리 나라에서 조자(造字)한 국자(國字)와 종래의 한자에 새로운 음의(音義)를 부여하여 사용한 국음자(國音字)와 국의자(國義字)로 나누어진다.

국 자 : 乭 · 乫 · 畓 · 怾 ·○· 旕 · 筽 · 襨

국음자 : 卜 · 召 · 赤 · 印 ·○· 釗 · 媤 · 頉

국의자 : 太 · 木 · 淸 · 級 · 娚 · 柶 · 椳 · 羘

이러한 속자류(俗字類)는 고유인명 · 고유지명 · 관직명 표기를 비롯하여 이두표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고유어의 한자화를 위하여 조자되었다고 하겠다.

한자의 제자(制字) 원리인 회의(會意) · 형성(形聲) · 가차(假借) 등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나, 특히 국어의 종성표기(終聲表記)에서 형성된 자류(字類)가 많은 것이 특징적이다.

참고문헌

『한국고유한자연구』(김종훈, 집문당, 1983)
「육당(六堂)의 신자전(新字典)에 관한 연구」(김종훈, 『아카데미론총』 3, 197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