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기이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송도유수로 재임 시에 들었던 기이한 이야기를 모아 1631년에 편찬한 설화집. 야담집.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송도유수로 재임 시에 들었던 기이한 이야기를 모아 1631년에 편찬한 설화집. 야담집.
개설

1책. 1629년 그가 송도유수로 나갔을 때에 그곳에서 들었던 특이한 이야기들을 파적(破寂)과 문교(文敎)에 도움을 주고자 1631년 완성한 글이다.

내용

책머리에 자서를 싣고, 본문에는 서경덕(徐敬德)·차식(車軾)·안경창(安慶昌)·최영수(崔永壽)·황진이(黃眞伊)·한명회(韓明澮)·차천로(車天輅)·한호(韓濩)·이유성(李有成)·전승개(田承漑)·임제(林悌) 등의 송도 출신 인사들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송악 신사(神祀)에 관한 이야기, 노국공주릉이 도굴 당한 이야기, 화장사(花藏寺) 뒤의 바위 구멍에 살던 뱀의 이야기를 싣고 있다.

『송도기이』의 부록에는 고려의 우왕과 창왕 정위왕씨설(定爲王氏說), 이죽천송도견문후(李竹泉松都見聞後)를 수록하였다. 책 끝에는 신익성(申翊聖)·이식(李植)·이경전(李慶全) 등의 발문이 있다.

『송도기이』 속에 실린 황진이에 관한 설화는 널리 알려진 것이다. 이 책에서 주목할만한 사항은 작가의 문인으로서의 기록의식이다. 이덕형이 시재어사(試才御史)로 송도에 파견되었을 때에 안사내(安四耐)·진주옹(陳主翁)으로 알려진 80고령의 이야기꾼으로부터 신이(新異)한 말을 들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 들었던 내용들을 유수로 재직하면서 다시 회상하며 글로 옮겼다.

의의와 평가

『송도기이』의 의의는 한 지역의 설화를 채집한 것보다는 이야기꾼으로부터 기록자에 이르는 설화 내지 소설의 기록화 과정을 보여준 좋은 예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곧, 기록화 단계에서의 작자의 창작정신은 높이 평가할만한 점이라 하겠다. 이 책은 『대동야승(大東野乘)』 권71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원본은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71(국역본, 민족문화추진회, 1971)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