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

목차
관련 정보
식물
생물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
목차
정의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
내용

한자어로는 고량(高梁)·촉서(蜀黍)라고 하며 학명은 Sorghum bicolor MOENCH이다. 높이가 2m에 달하는 식물로 원줄기의 속이 충실하며 마디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60㎝, 너비 6㎝ 내외로서 끝이 처지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차츰 적갈색으로 된다. 큰 원추화서(圓錐花序:원뿔형의 꽃차례)에 많은 꽃이 밀생한다.

암꽃은 화경(花莖:꽃대)이 없고 길이 5㎜ 정도로서 넓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에 속모(束毛)가 있다. 내영(內穎:이삭)은 길이 6㎜ 정도의 긴 까끄라기가 있으며 각 마디에 대가 있는 수꽃이 1, 2개씩 달린다.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이며 인도와 유럽에서 재배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서기전 6∼4세기경의 함경북도 회령읍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지에서 수수가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하지 않다. 다만 중국을 통해서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생산현황은 1960년대 후반에는 재배면적 1만6000㏊에 8,000t 정도가 생산되었으나 그뒤 재배면적이 계속 감소되어 1987년에는 1,750㏊에 2,293t이 생산되었다. 수수는 주로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단작직파(單作直播)의 경우에는 5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간격은 60×30㎝ 정도로 포기당 7·8립 파종하며 조파(條播)를 할 경우에는 10당 4l 정도를 파종하여 30㎝당 4·5본이 자라도록 한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8㎏, 인산 6㎏, 칼리 6㎏, 퇴비 1,000㎏이 적당하다. 이식혼작의 경우는 주로 보리의 뒷그루로 재배하는 콩과 혼작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는 묘를 키워서 이식한다.

묘판은 5월 중순경에 파종하고 부식퇴비·재 등을 밑거름으로 주어 기른다. 콩을 심은 뒤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에 이식하는데 콩을 심은 4골마다 주당 1.5∼2m의 간격으로 포기당 5∼8본씩 이식한다. 이보다 촘촘하게 혼식하면 그늘이 지고 경합이 심하여 두 작물 모두 생육이 나빠진다.

수수는 크게 메수수와 찰수수로 분류되는데 찰수수는 밥에 섞어 먹거나 떡을 만들고 메수수는 사료나 양조용 곡물로 쓰인다. 특히, 수수는 색이 붉어서 어린아이의 돌이나 생일 때 못된 귀신의 접근을 막고 건강하게 자라라는 기원의 의미로 수수팥떡으로 만들어 먹인다. 또 이삭이 밑으로 처지는 수수품종은 이삭폭이 푸른 빛을 띨 때 잘라 말려서 비를 매어 사용한다.

참고문헌

『전작(田作)』(조재영 외, 향문사, 1980)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농림수산통계연보』(농림수산부, 1987)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