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농청놀이 ( 놀이)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놀이
문화재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전승되는 농요 위주의 민속놀이.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전승되는 농요 위주의 민속놀이.
내용

1972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명칭은 놀이로 되어 있으나, 소리가 주종목이다. 수영은 1671년(현종 12)부터 1894년 갑오경장까지 경상좌도수군절도영이 있던 곳이며, 수영강을 끼고 해변에 자리잡은 대집단공동체의 자연마을이었다.

8·15 당시만 해도 98%가 농민이었으나, 지금은 1가구의 농가도 없이 도시화되었다. 수영사람들은 100여 년 전부터 공동작업을 조직적이고 능률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농청이 1960년대까지 존속했다고 하지만, 그 연원을 삼한시대 두레의 유풍이라 생각하면 고대로 소급될 것이다.

농청원은 노동력이 있는 남녀로 구성되는데, 남자는 중노동을 위주로 하며, 내방청원(內房廳員)은 밭농사를 중심으로 하되, 모내기철에는 모찌기와 모심기에 동원된다.

집단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그 규율은 엄하므로, 만일 어기면 곤장으로 다스리고 심하면 추방했다고 한다. 수영농청놀이는 모찌기·모심기·논매기 등 농요가 주이고, 여기에 보리타작소리와 소싸움이 첨가된다.

① 모찌기노래:1행이 3∼4음절 4구로 된 2행시가 한 토막을 이루고, 선·후창으로 분창하니 선창은 독창이고 후창은 제창이다. (선) “일월이 돋아와도……” (후) “매화대를 꺾어들고 ……”

② 모심기노래:모찌기와 같이 주로 내방청원이 담당한다. 3∼4음절 4구 1행이 앞뒤로 이어진다. (선) “이논에다 모를심아 ……” (후) “우리부모 산소등에 ……” 모내기소리는 아침·중참·점심·후참·석양 등에 따라 가사와 가락이 달라진다.

③ 김매기노래:논김을 매는 남자들의 소리이다. 북을 세 번 울리면 일제히 “에이 에이”를 두 번 하고, 앞소리가 “에― 헤― 아― 아” 라 하면 뒷소리도 그같이 하는데 후창의 가사는 동일하다.

④ 보리타작소리:수영지방에서는 이모작이 가능하므로 보리타작을 모내기와 동시에 한다. 가락은 1음보격으로 단조롭다. (선) “어화” (후) “어화”(이하 동) (선) “때려라. ……” 모든 작업을 마치면, 동·서부로 나뉘어 소싸움을 하며 판굿으로 끝맺는다.

수영농청놀이는 도시화된 고장에서 농요를 들을 수 있으며, 한편 사용되는 기구·의상·도구 등은 민속자료로 전승될 것이다. 1972년 10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향土의 민속문화』(강용권,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99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용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