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불산신사 ()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신당.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801870000
지정기관
경상남도
명칭
양산 우불산 신사
원어
于佛山神祠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187호
지정일
1991년 12월 23일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1134 우불산 신사
경도
129.176627171007
위도
35.4247272698636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80187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신당. 문화재자료.
내용

1991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삼국사기』 권32 제사(祭祀)조에 24개 소사(小祠) 중 ‘우화(于火)’라 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2에도 소사로 되어 있다.

본사는 신라시대부터 소사로서 춘추 중월(仲月)에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제례를 도백(道伯: 지방장관)이 초헌관으로 지내왔으며, 현재는 양산군수가 초헌관으로 음력 2월 하정일(下丁日)에 모시고 있다.

이 신사는 우불산록에 사우(祠宇:사당)와 재사(齋舍:방)가 있으며, 사우는 정면 1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지붕의 양 옆면이 막 잘려진 지붕) 목조와가(木造瓦家)로, 제당에는 우불산신위와 제상을 놓고 있다.

《양산군지》에 의하면, 인조 22년(1644)에 사우와 재사를 창건한 후 수차 중수하였으며, 현 건물은 1918년 재건하고 1974년에 중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례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 하정일에 지내왔으나, 지금은 2월 하정일에만 지낸다. 당일 정오에서 약 1시간 동안 양산군수를 초헌관으로 하고, 웅상면과 울주군 웅촌면 유림을 중심으로 약 100∼150명이 향사를 모시고 있다.

제관은 초헌관 · 아헌관 · 종헌관 · 집례, 대축 · 진설 · 알자(謁者) · 찬인(贊引) · 사촉(司燭) · 봉향 · 봉로 · 사준 · 봉작(奉爵) · 전작 · 학생이고, 제복은 백색도포에 유건을 쓰고 행전을 친다. 단 학생은 흰 두루마기를 입는다. 제관 선정은 우불단장(壇長) · 총무유사 · 재무유사 및 감사가 모여 상론하여 결정한다.

제기는 변(籩) · 두(豆) · 보(簠) · 궤(簋) · 조(俎) 등이며, 이 밖의 제구는 제상 · 향안 · 향로 · 축점(祝坫) · 촛대 · 작(爵) · 주준(酒樽) 등이다. 제물은 예전에 좌팔변, 우팔두, 2보, 2궤, 2조 및 폐비(幣篚)를 진설하였으나, 지금은 4변, 4두, 1보, 1궤, 1조로 반감되고, 전폐례(奠幣禮:제례에 헌관이 삼상 향하고 신주 앞에 폐백을 드리던 예)는 폐지되었다. 한편 제물에 있어서는 예와 차이가 있으니 다음과 같다.

양(梁)은 조[粟]로, 녹포(鹿脯)는 우포로, 녹해(鹿醢)는 소의 간 · 처녑으로 대신하고 있다. 행례는 홀기(笏記:의식의 절차를 적은 글)에 의하여 진행된다.

의의와 평가

이 신사는 소사로서의 역사성과 임란 때 사신(祠神)의 도움으로 왜적을 전멸시켰다는 신성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제향이 전승되고 있는 경상남도 유일의 소사임이 특기할 만하다.

참고문헌

『경상남도문화재지정심의조서』(경상남도, 1991)
집필자
강용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