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

목차
관련 정보
수정
수정
의생활
물품
무색 투명한 석영 광물질.
이칭
이칭
수옥(水玉)
목차
정의
무색 투명한 석영 광물질.
내용

보석의 하나로 수옥(水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무색은 맑은 얼음 덩어리를 연상시키는데, 무색 이외에 보라색을 비롯하여 황색·갈색·홍색·녹색·청색·흑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나타난다. 빛깔에 따라서 명칭이 세분되는데, 보라색은 자수정, 황색은 황수정이라 한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수정을 언제부터 보석으로 사용하였는지 자세히 알 길이 없지만, 최소한 삼국시대 초기부터라고 추측된다. 왜냐하면 신라의 도읍지였던 경주에서 수정과 자수정이 생산된데다가 신라의 장신구 가운데 수정제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금령총(金鈴塚)에서 출토된 수정목걸이와 미추왕릉(味鄒王陵) 지구에서 출토된 상감유리옥부목걸이는 5, 6세기경에 제작된 것이다.

특히 금령총 출토 목걸이는 한 개의 곡옥형 수정과 주판알을 잡아늘인 형태의 6각형 수정 38개로 이루어졌는데 중심에 가까울수록 수정이 크고 길다. 조선시대에는 수정을 이용한 장신구가 널리 이용되었고 장수약이라 하여 수정을 달여 마시기도 하였다. 또, 안경과 거울을 만들기도 하였다.

특히, 경주남산 부근에서 채광된 자수정은 빛깔이 곱고 아름다워서 목걸이·가락지·노리개 등에 이용되었다. 경도가 7인 수정은 최근에는 장신구로 이용되는 외에 산업용으로도 사용된다. 1880년에 수정에 의한 압전기 효과가 발견되어 1922년에 실용화되었는데, 현재는 라디오의 주파수 컨트롤을 비롯하여 오차를 극소화시킨 전자시계, 해저 통신기 등에 이용된다.

또 자외선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스펙트럼 분석용 분광기인 프리즘이나 렌즈로도 이용된다. 안경렌즈로도 이용되는데 경주 남석의 품질이 우수하다. 수정은 다른 보석에 비하여 열에 민감한데, 특히 자수정은 300℃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수정은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어 비교적 흔한 편이고, 여러 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보석으로 사용되어왔다.

참고문헌

『한국화장문화사(韓國化粧文化史)』(김완길, 열화당, 1987)
「고분미술(古墳美術)」(『한국미술전집』2, 동화출판공사, 197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전완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