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 ()

목차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유식학의 대가로 『성유식론요간』, 『인명입정리론초』 등을 저술한 승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유식학의 대가로 『성유식론요간』, 『인명입정리론초』 등을 저술한 승려.
내용

유식학(唯識學)의 대가(大家)이다. 낭군(浪郡) 출신. 가계(家系) 등은 전하지 않는다. 중국에 가지는 않았으나 신라에서 현장(玄奘)의 진유식량(眞唯識量)을 기초로 하여 결정상위부정량(決定相違不定量)의 이론을 정립하였다.

건봉연간(乾封年間, 666∼667) 당나라로 가는 입공사신(入貢使臣)의 편에 자신이 세운 결정상위부정량을 써서 현장에게 보냈다. 그러나 그때 이미 현장이 입적(入寂)한 지 2년 뒤였으므로 현장에게 보일 수 없었다. 다만 현장의 수제자인 규기(窺基)가 그것을 보고 매우 감탄하였다고 한다.

그의 저술 중에는 중국에 전해진 것이 많다. 국내에서 공부하였으면서도 이름을 중국에까지 크게 떨쳤던 법상학(法相學)의 대덕(大德)이었다. 그의 소종(所宗)은 법상대승요의교(法相大乘了義敎)였다고 한다.

그는 또 『화엄경』에 있는 ‘시종발심편성불(始從發心便成佛)’에 대하여 비방을 하고 믿지 않다가 생신(生身)으로 지옥에 떨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저서로는 『법화경요간(法華經料簡)』 1권과 『대비바사심론초(大毘婆沙心論抄)』 10권, 『성유식론요간(成唯識論料簡)』 1권, 『인명입정리론초(因明入正理論抄)』 1권 등이 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宋高僧傳)』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