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반월지구 유적발굴조사시 총 13기의 고인돌이 확인되어 그 중 3기가 경희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유적들은 관모봉(冠帽峰)으로부터 이어지는 완만한 경사대지 위의 밭 가운데에 산재해 있다. 그 중 최대 규모의 것을 제1호, 그 서쪽과 북쪽에 위치한 고인돌들을 제2호와 제3호로 명명한 뒤 발굴에 착수하였다.
제1호 고인돌은 길이 332㎝, 너비 240㎝, 높이 100㎝의 규모로서 발굴 당시 뚜렷한 굄돌을 확인하지 못한 점으로 보아 이른바 개석식(蓋石式) 고인돌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상부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상석(上石)과 개석이 이중으로 겹쳐져 있다는 점인데 그 사이의 빈틈은 돌로 채워져 있었으며, 그곳에서 숫돌 1점이 발견되었다. 하부구조는 동서 길이 212㎝, 너비 50∼70㎝의 토광(土壙)과 그 상부의 적석부(積石部)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출토유물로는 석착편(石鑿片) 1점과 토기편 4점이 확인되었다. 석착편은 6.3㎝×4.4㎝ 크기로서 사용흔적이 남아 있었다. 토기편들은 흑회색의 연질이다. 또한 개석과 상석 사이에서 발견된 숫돌은 두께 5.8㎝, 길이 24. 3㎝, 너비 11.2㎝의 대형으로서 약간의 사용흔적이 남아 있을 뿐이다.
제2호 고인돌은 제1호 고인돌의 서쪽 10m 지점에 위치한다. 개석식의 형태로서 상석은 동서 너비 198㎝, 남북 길이 200㎝, 두께 70㎝의 크기였으며, 그 아래 자갈층과 토광이 순서대로 확인되었다. 토광은 동서 길이 198㎝, 너비 74㎝, 깊이 50㎝의 장방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내부에서 발견된 유물은 전혀 없었고, 그 상부의 자갈층에서만 토기편 1점이 발견되었을 뿐이다.
제3호 고인돌은 제1호 고인돌의 북쪽 18m 지점에 위치한다. 발굴 도중 교란된 사실이 밝혀져 작업이 중단되었다.
당시의 발굴에서 얻은 중요한 성과는 제1호 고인돌이 이중개석식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점이다. 또한 고인돌 부근에서 무문토기시대 움집이 확인되었고 돌무지움무덤[積石土壙墓]이 발굴되어 유적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