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

목차
관련 정보
강릉단오제 / 신간
강릉단오제 / 신간
민간신앙
개념
무속에서 신령이 하강하는 통로로 신령의 임재(臨在)를 나타내는 신목(神木). 신대.
이칭
이칭
신대
목차
정의
무속에서 신령이 하강하는 통로로 신령의 임재(臨在)를 나타내는 신목(神木). 신대.
내용

이를 신대라고도 불린다. 신목(神木)이 살아 있는 나무로써 모셔지는 데 비하여 신간은 그 목적을 위하여 만들어지거나 새로 세워지는 차이를 보인다.

각지의 굿과 그 모시는 신령에 따라 대신대[大神竿]·신장대·성황대·깃대·물대[水竿] 등으로 불린다. 신간을 세우는 풍속은 고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삼국지 三國志≫ 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 마한조(馬韓條)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걸어 신령을 모신다(立大木懸鈴鼓事神).”는 기사가 그 사정을 말해준다. 신대는 지역에 따라 대개 두 종류로 크게 나뉜다.

중부와 그 이북지방에서는 비교적 짧은 나무몽둥이를 사용하고, 그 아래 지역에서는 긴 대나무[竹]를 세운다. 서울·경기 지역의 무당이 성주받이를 위하여 청솔[靑松]가지로써 50㎝ 가량 높이의 성줏대를 만들어 쓰는 것이 전자의 경우이다. 평안북도 무당도 비슷한 크기의 성줏대를 사용한다.

병마(病魔)를 잡는 행사에 한 자 조금 넘는 복숭아 나뭇가지를 몽둥이로 다듬어 신장대로 쓰기도 한다. 이들 짧은 신대에는 신령을 상징하는 치장이 뒤따른다. 예컨대, 몽둥이의 꼭대기에 흰 실이나 길게 자른 한지(韓紙)를 삼끈으로 묶는 경우가 보통이다.

경기도덕물산(德物山) 도당제(都堂祭)에서는 무당이 성황신(城隍神)을 상징하는 다섯자 가량의 신대를 마련하여 그것을 앞세우고 주무(主巫)를 비롯한 여러 무당이 걸립(乞粒)에 나선다. 마을의 집집마다 들러 각 집안의 기원을 담은 베·한지·흰실·옷가지 등을 받아 신대에 묶어두고 굿이 끝날 무렵 그것을 멀리 던져버린다.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지방에서 세우는 보다 긴 신간도 지역에 따라 풍속을 약간씩 달리한다. 경상북도 영덕의 별신제(別神祭)에서는 열 자가 넘는 대나무로써 새로 신대를 만들어 동신(洞神)으로 모신다. 긴 베나 종이조각을 대의 꼭대기에 묶고 그 아래로 붉은 종이로 된 기(旗)를 꿩꼬리의 털처럼 달아 날리게 한다.

굿의 마지막에 그 신대를 동신목(洞神木)의 구멍난 부분에 박아 생산을 상징하고 풍농을 기원하는 성희(性戱 : 성적인 놀이)를 연출시킨다. 영남·호남 해안 및 제주도에서는 특히 풍신(風神)인 영등할머니를 위한 영등맞이와 관련하여 흔히 신대를 세운다. 거제도 장승포(長承浦)의 경우, 정월 그믐날밤 각 집마다 대나무의 윗 부분에 여러 색깔의 베조각을 늘어뜨린 물대를 부엌이나 장독대에 모신다.

그리고 영등할미가 오는 2월 초하루 아침부터 19일까지 매일 청수(淸水)를 공양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제주목(濟州牧)의 풍속편에 의하면 제주도 귀덕(歸德)·김녕(金寧) 등지에서 2월 초하루에 목간(木竿) 12개를 세우고 영신제(迎神祭)를 지낸다 하였다. 이즈음에는 무당집 마당에 대신대를 세우고 거기에 흰색·검은색 베 및 삼베의 신다리[神橋] 셋을 묶어 길게 늘어뜨린다.

제주도의 사령제(死靈祭)인 산왕굿[山王祭]에서도 굿마당에 스무자가 넘는 신간을 세우는데, 그 꼭대기에다 푸른 댓가지를 꽂고 파랑·빨강·흰색의 종이를 매달고 참주나무[椿] 잎을 붙인 종이기도 걸고 신간의 가운데쯤에는 고인의 두루마기와 베에 싼 쌀·돈 등을 걸어둔다.

이 대를 큰대 또는 깃대라 부른다. 이것은 신령의 통로를 상징한다. 그밖에 서귀포에는 무당집의 좌우에 가는 대나무로 된 신간을 세워 현재 굿이 진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나무를 세우는 관습은 한국뿐 아니라 퉁구스·몽고·핀 족 등 이른바 우랄알타이 제민족에 널리 분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비교적 체계화된 무신앙과 함께 신대가 다양하게 발전하여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무교(巫敎)의 역사와 구조』(류동식, 연세대학교출판부, 1975)
『朝鮮巫俗の硏究』 下(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흥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