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법사방 ()

목차
관련 정보
신라법사방
신라법사방
의약학
문헌
삼국시대 신라에서 편찬한 것으로 추정하는 의서.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에서 편찬한 것으로 추정하는 의서.
내용

다른 저서의 기록으로 보아 신라시대에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백제신집방 百濟新集方≫과 같이 고려 성종 3년(984)에 일본의 단파(丹波康頼)가 편술한 ≪의심방 醫心方≫ 중에 ≪신라법사방≫이 두 곳, ≪신라법사유관비밀요술방 新羅法師流觀祕密要術方≫이 각각 한 곳씩 모두 4개의 방문이 소개되어 있다.

제1의 ≪신라법사방≫(의심방 권2)은 약을 먹을 때에 외우는 주문(呪文)인데, 주문을 읽어서 병액(病厄)을 없애버리고자 하는 인도 고대의 신비적 의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신앙을 중심으로 한 불도(佛道)의 의료술법들이 당시 신라의 의료에 널리 파급되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제2의 ≪신라법사방≫(의심방 권10)은 약초인 속수자(續隨子)로써 적취병을 치료한 것인데, 이 약초는 중국의 고전 본초서(本草書)인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는 보이지 않으나 남조시대 양(梁)나라의 도홍경(陶弘景)이 수집한 명의별록에 소개되어 있다.

제3의 ≪신라법사유관비밀요술방≫(의심방 권28)은 방중어비(房中御妃)의 술법(術法)을 논한 것인데, 방중술법(房中術法:성교의 방법과 기술)은 ≪한서 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의료술법의 일부로서 오래 전부터 의방술에 포함되어 있다. 이 술법은 신선도가(神仙道家)들의 방중보익법(房中補益法:방중술로 몸의 기운을 증강함)에 관한 약물의 효능을 논한 것인데, 신라시대의 의료술법이 신선도가들의 사상에 영향받았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서가 당의 법사 혜충전(惠忠傳)의 ≪법장험기 法藏驗記≫를 인용한 것이나, 그 밖에도 불교의 고승 대덕(大德)으로서 의학에 달통한 용수(龍樹)·마명(馬鳴)과 약사여래(藥師如來)들의 교유(敎喩:가르침과 비유)를 논한 것은 신라의학이 의술에 정통한 법사들의 승려의학(僧侶醫學)에도 많이 의존하였던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제4의 ≪신라법사비밀방≫(의심방 권28)에 채용된 노봉방(露蜂房:말벌의 집)은 ≪신농본초경≫에 기재되어 있어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 약효에 있어서는 서로 일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방문에 적혀 있는 여러가지의 증상인 남녀(男女)·신정(神靜)·심민(心敏)·이총(耳聰)·목명(目明)·구비기향(口鼻氣香) 등등의 약효들은 중국의 남북조시대로부터, 수·당나라에 이르는 고전의방서와 경사제설(經史諸說:經書와 史記에 나오는 가르침)을 수집한 송대의 ≪경사증류대전본초 經史證類大全本草≫에도 전연 보이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노봉방은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약재이지만, 그 응용방법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 당시 신라의 의료술법이 중국 한의학의 권내에 있으면서도 선행적인 고유의술의 전통을 조금도 등한히 하지 않고 도리어 양자를 융합, 선택하여 자립적 의료술법을 수립하고자 하는 데 노력해 온 자취를 충분히 찾아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의심방(醫心方)』
『한서(漢書)』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두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