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신명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신명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3책. 연활자본. 1928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2편, 시 209수, 권2에 서(書) 81편, 권3·4에 잡저 4편, 서(序) 6편, 기(記) 11편, 발(跋) 6편, 잠(箴) 2편, 명(銘) 1편, 상량문 4편, 축문 3편, 제문 11편, 묘지명 2편, 비문 1편, 묘표 4편, 묘갈명 2편, 행장 12편, 유사 2편, 전(傳)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별지(別紙)에서는 사람이 태어날 때 받은 혼연한 전체(全體)는 성(性)이고 이를 주관하여 작용하는 것은 심(心)이니, 심이 없으면 성을 나타낼 수 없다고 하여 주심(主心)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성은 원래 정적(靜的)이고 심은 동적이며, 정적인 것은 순일(純一)하고 동적인 것은 차질이 있다고 하였다. 또, 심을 다스림에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된다고 하였다.

잡저 가운데 「문자설(文字說)」에서는 형체에 의해 그림자가 생기고 소리에 의해 음향이 생기는 것으로, 형체와 소리가 없어지면 그림자와 음향도 없다는 이치를 전개하여 영원성(永遠性)이 없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반해 문자는 영원불멸의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글자 만든 사람들의 고마움을 역설하였다.

잠 가운데 「관선당잠(觀善堂箴)」은 사람의 천부적인 성품은 모두 선하나 공부를 하지 않으면 이를 알지 못하게 되므로 반드시 공부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 면학(勉學)을 위한 잠이다.

이밖에 「수선사유제생(守善社諭諸生)」·「종회규약(宗會規約)」 등이 있고, 서(序) 중의 「관선계첩서(觀善契帖序)」·「유계첩서(儒契帖序)」 등은 당시 계회(契會)의 형성과 그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집필자
이재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