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3책. 연활자본. 1928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2편, 시 209수, 권2에 서(書) 81편, 권3·4에 잡저 4편, 서(序) 6편, 기(記) 11편, 발(跋) 6편, 잠(箴) 2편, 명(銘) 1편, 상량문 4편, 축문 3편, 제문 11편, 묘지명 2편, 비문 1편, 묘표 4편, 묘갈명 2편, 행장 12편, 유사 2편, 전(傳)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별지(別紙)에서는 사람이 태어날 때 받은 혼연한 전체(全體)는 성(性)이고 이를 주관하여 작용하는 것은 심(心)이니, 심이 없으면 성을 나타낼 수 없다고 하여 주심(主心)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성은 원래 정적(靜的)이고 심은 동적이며, 정적인 것은 순일(純一)하고 동적인 것은 차질이 있다고 하였다. 또, 심을 다스림에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된다고 하였다.
잡저 가운데 「문자설(文字說)」에서는 형체에 의해 그림자가 생기고 소리에 의해 음향이 생기는 것으로, 형체와 소리가 없어지면 그림자와 음향도 없다는 이치를 전개하여 영원성(永遠性)이 없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반해 문자는 영원불멸의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글자 만든 사람들의 고마움을 역설하였다.
잠 가운데 「관선당잠(觀善堂箴)」은 사람의 천부적인 성품은 모두 선하나 공부를 하지 않으면 이를 알지 못하게 되므로 반드시 공부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 면학(勉學)을 위한 잠이다.
이밖에 「수선사유제생(守善社諭諸生)」·「종회규약(宗會規約)」 등이 있고, 서(序) 중의 「관선계첩서(觀善契帖序)」·「유계첩서(儒契帖序)」 등은 당시 계회(契會)의 형성과 그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