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50년(철종 1) 7대손 우곤(遇坤)·응곤(應坤)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정현(尹定鉉)의 서문, 권말에 우곤·응곤·홍직필(洪直弼)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부사(賦詞) 3편, 오언사운 3수, 오언잡시 2수, 칠언절구 6수, 칠언사운 9수, 칠언잡시 1수, 서(書) 2편, 서(序) 1편, 전(傳) 1편, 기(記) 3편, 제문 2편, 정문(呈文)·발(跋)·명(銘)·지(誌)·책(策)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지·봉안문, 증정시 19수, 별시방목(別試榜目)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조하(趙蝦),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두목(杜牧) 등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다. 기 중 「함흥보민청기(咸興補民廳記)」는 저자가 함경도사로 재임하던 때인 1653년(효종 4) 4월에 함흥에 보민청을 설립하게 된 경위를 밝힌 글이다.
발은 「조주도발(朝周圖跋)」로 병자호란을 겪은 뒤 존주양이(尊周壤夷)의 뜻을 밝히고자 지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