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계부 ()

목차
관련 정보
동문선(권1) / 아계부
동문선(권1) / 아계부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부(賦).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부(賦).
내용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부(賦). 『동문선』 제1권에 실려 있다. 이는 율부(律賦)의 형식으로, 전편이 6언 대구로 되어 있다. 내용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단락은 세모가 되어 낮은 짧고 밤은 긴데 잠을 이루지 못하여 온갖 생각이 쌓이는 심정을 말하였다.

둘째 단락은 닭장에서 조만간 닭이 홰를 치면서 울기를 기다렸으나 끝내 울지를 않는다. 아이를 불러 닭이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알아보게 하니 닭은 머리를 숙이고 입을 다물고 울지 않은 것을 알았다.

셋째 단락은 도적을 보고도 짖지 않는 개, 쥐를 보고도 잡지 않는 고양이, 새벽이 되어도 울지 않는 닭은 모두 잡아죽여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넷째 단락에서는 옛 성인은 생명을 죽이지 않는 것으로 인(仁)을 삼기 때문에 닭을 죽이지 않으니, 자성하기를 바란다는 것으로 결론짓는다.

닭은 새벽에 울어 시간을 알려주는 것인데 제구실을 못하고 벙어리 노릇을 하듯이, 맡은 임무를 다하지 못하는 사람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는 그의 「중니봉부(仲尼鳳賦)」와 함께 고려조에 처음 나타나는 부문학이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