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남성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방패형 청동기
방패형 청동기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있는 철기시대 관옥 · 거울조각 등이 출토된 돌널무덤. 석관묘.
목차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있는 철기시대 관옥 · 거울조각 등이 출토된 돌널무덤. 석관묘.
내용

남성리와 실옥리 사이의 높이 30∼40m 정도의 나지막한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1976년에 우물을 파다가 동검 9점을 비롯한 일괄유물을 발견한 뒤,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재발굴 조사되었다. 그 결과, 파괴된 돌널무덤의 구조 일부가 밝혀졌고 묘광 내에 남아 있던 관옥(管玉), 거울편, 옻칠편, 토기 등이 수습되었다.

묘광은 상부 쪽이 약간 넓고 하부 쪽은 좁아진 형태로, 평면은 부정(不整)타원형이다. 장축은 대략 동서방향이며 규모는 3.1m×1.8m이다. 주체부인 돌널은 지하 2m 깊이에 바닥이 있으며 크기는 폭 0.8∼0.9m, 길이 약 2.8m이다. 벽은 약 10㎝ 정도의 할석(割石)을 쌓아 구축하였다. 관벽(棺壁)으로 본 돌널의 깊이는 70㎝ 정도까지만 확인되었으나, 묘광의 깊이가 2m나 되기 때문에 약 1m 정도는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로 만든 돌널의 뚜껑 위에 돌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로는 세형동검(細形銅劍) 9점, 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 1점, 검파형동기(劍把形銅器) 3점, 다뉴조문경(多紐粗文鏡) 2점, 청동도끼[銅斧] 1점, 청동끌[銅鑿] 1점, 곡옥 1점, 관옥 103점 등이다. 토기로는 무늬없는 토기 형식 중 점토대토기와 흑색토기장경호가 있다.

이 유적은 구조나 출토유물로 보아, 대전광역시 괴정동, 예산 동서리 돌널무덤 유적과 동일한 성격의 것으로 I식 세형동검의 성기(盛期)에 해당되는 유적이다. 다만, 출토유물 중 청동기에서 1점뿐이긴 하지만 Ⅱ식 동검이 보이며, 조문경의 문양구성이 세문경(細文鏡)과 흡사해 과도적인 양상을 보이는 점 등으로 보아, 괴정동 유적보다는 시기적으로 약간 뒤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서리 유적보다는 Ⅱ식 동검이 적고 세문경이 없다는 점으로 보아 약간 이를 것으로 생각된다.

돌널무덤 계열에 속하는 유적들에서는 동검·동경·곡옥의 세트관계가 항상 일정하다. 이것은 지배계급의 신분 또는 샤머니즘과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이형청동기들이 충청도 일원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 일대가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대는 괴정동 유적보다 조금 뒤지고, 동모(銅鉾)·동과(銅戈)가 보이지 않는 I식 동검 시기에 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서기전 3세기 초에서 말에 걸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청동유물도록』(국립중앙박물관, 1968)
『남성리석관묘』(한병삼·이건무, 국립박물관,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건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