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거 ()

목차
관련 정보
참선
참선
불교
의례·행사
여름 3개월과 겨울 3개월 동안 출가한 승려들이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불교제도. 불교수행법.
이칭
이칭
결제
목차
정의
여름 3개월과 겨울 3개월 동안 출가한 승려들이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불교제도. 불교수행법.
내용

안거는 범어 'varṣa'의 한역으로 불교의 수행자들이 일정 기간 동안 한 곳에 모여서 수행하는 기간을 말한다. 주1에서는 여름 한 차례만 안거를 행하며, 주2에서는 여름 3개월 동안 행하는 하안거(夏安居)와 겨울 3개월 동안 행하는 동안거(冬安居)가 있다. 즉 1년에 두 번 안거를 행하게 된다.

인도에서는 주3에서 안거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비구(比丘)들이 여름에 주4하다가 폭풍우를 만나고 초목과 벌레들을 살상하여 비난을 받았으므로 여름에는 외출을 금지하고 수행을 하게 한 것이 불교 안거의 기원이다.

안거의 원래 뜻은 우기(雨期)를 뜻하고, 이러한 우기에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불제자가 한곳에 모여 조용히 주5을 일으켜 수행하게 된다. 안거의 시기에 관하여서는 『행사초(行事鈔)』에 “4월 16일부터 시작하여 7월 15일에 끝난다.” 하고, “그 다음날 16일을 주6의 날로 삼는다.”고

당나라주7의 현장(玄奘)은 우기인 5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 안거를 행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서 인도 승려들의 안거의 예를 들고 있다. 4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의 안거를 전안거(前安居)라 하고, 5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의 안거를 후안거(後安居)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4월 15일에 주8하여 7월 15일 주9하는 안거제도를 따르는 하안거와,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하여 다음해 1월 15일에 해제하는 동안거를 채택하여 행하고 있다. 그리고 안거기간 동안은 한곳에서만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몇 안거를 났느냐 함이 곧 승려의 수행이력이 되기도 한다.

안거는 각 본산의 사찰별로 행하며, 안거를 실시하는 사원은 안거자 명단을 작성하고, 안거 중의 각 소임을 정한다. 안거 중에는 좌선 · 주10 등에 의하여 수행을 행하는 것이 관례이나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좌선 위주로 수행한다. 안거를 마치고 해제하는 날은 주11 등을 베풀어 그 동안의 노고를 달래는 풍습이 있다. 특히 7월 15일의 해제하는 날에는 주12 등을 거행한다.

참고문헌

『사분율(四分律)』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주석
주1

동남아시아의 불교. 아소카왕 이후 남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인도네시아 등지에 전파되어 있는 소승 불교이다. 우리말샘

주2

기원전 3세기 무렵 인도의 아소카왕 때부터 발달하여 한국, 티베트, 중국, 일본에 퍼진 불교. 대승 불교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우리말샘

주3

불교에 앞서 고대 인도에서 경전인 베다의 신앙을 중심으로 발달한 종교. 우주의 본체 곧 범천(梵天)을 중심으로 하여 희생을 중요시하며 난행고행과 조행(操行) 결백을 으뜸으로 삼는다. 우리말샘

주4

어떤 목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님. 우리말샘

주5

바르고 착한 길을 따르려는 마음. 우리말샘

주6

스스로의 잘못된 점을 반성함

주7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8

안거(安居) 제도를 준수함. 우리말샘

주9

안거(安居)를 마침. 우리말샘

주10

불경을 소리 내지 않고 속으로 읽음. 우리말샘

주11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우리말샘

주12

아귀도에 떨어진 망령을 위하여 여는 불사(佛事). 목련 존자가 아귀도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아 여러 수행승에게 올린 공양에서 비롯한다. 하안거(夏安居)의 끝 날인 음력 칠월 보름을 앞뒤로 한 사흘간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조상이나 부처에게 공양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